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서울시, 홍릉특구서 디지털 헬스케어 미래인재 교육과정 운영

서울시는 바이오산업 거점인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미래인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고 5일 밝혔다.

 

총 50명을 대상으로 3개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의료기기 규격 대응 연구개발 전문가 과정'은 7월 말, '디지털 헬스 의료기기 사업화 전략 과정'과 '빅데이터 활용 과정'은 9월 개강한다.

 

교육은 고려대 강의실과 서울바이오허브 교육장에서 진행된다.
교육과정 설계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홍릉 강소특구 내 기술 핵심 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고려대학교 교수진 등이 참여한다.

 

시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체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수료 후 곧바로 현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과정을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교육과정이 끝나면 기업 등과 연계해 취업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 대상은 구직자(미취업자), 재직자, 스타트업 임원급 등이다. 재직자는 35만원, 구직자(미취업자)는 무료로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신청 기간은 이달 6∼19일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 고시·공고 게시판 및 홍릉 강소특구 홈페이지 https://inno. hongneung.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현숙 서울시 신성장산업기획관은 "연평균 39% 성장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서울의 미래먹거리를 책임질 산업"이라며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인력 양성 과정이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 국내 바이오 헬스케어 전반의 성장을 견인하도록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