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민의힘 류성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12일 보면 통계청은 1인 가구 고독사에 대한 통계를 마련할 계획을 하고 있지 않다.
류 의원이 1인 가구 고독사 통계 중 40대 이하 청년층에 대한 통계를 집계할 필요성에 대해 통계청의 의견을 묻자 통계청은 "고독사에 대한 실태 파악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면서도 "다만 별도의 통계로 작성하기 어렵다"고 답변했다.

관련기사 ->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과제
40대 이하 청년층에 대한 통계는 물론이고 고독사 관련 통계 작성 자체가 어렵다는 의미다. 통계청은 또 "서식에 관련 항목을 추가하더라도 신고 의무자인 친족 등이 '사망자가 돌봄 없이 상당 기간 방치되었는지' 등에 관해 기재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이유를 들었다.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되는 경우를 뜻한다. 통상 혼자 살다가 집에서 사망한 지 3일 이후 발견되면 고독사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관련기사 -> 완도군 고독사 지킴이단, 어르신 안전망 구축
고독사가 우려되는 홀로 사는 고령의 1인 가구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통계청의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일반가구(노인 요양시설 등 집단가구 제외) 구성원 중 65세 이상 가구원은 784만6천명, 이 가운데 1인 가구인 사람은 166만1천명으로 21.2%를 차지한다.

65세 이상 인구 5명 중 1명이 가족 없이 홀로 살고 있다는 의미다.
65세 이상 고령인 1인 가구는 2015년 122만3천명에서 2020년 166만1천명으로 5년 새 35.8%나 늘었다. 지난해 80세 이상 1인 가구는 47만명으로 2015년 31만3천명 대비 50.2% 급증했다.
#고독사 #고독사통계 #노인복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