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태양빛은 그에게 무슨 의미로 다가 왔을까

 
●"죽음의 의사" 8년만에 햇빛
●130명 안락사 도운 케보키안 출감

130여명의 자살을 도와 ‘죽음의 의사’로 불리는 잭 케보키안(79·사진) 박사가 1일 8년여의 복역을 마치고 출감했다.
케보키안 박사는 이날 미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외곽에 위치한 콜드워터의 레이크랜드 교도소 문을 나서면서 “오늘 출감은 내 인생에서 가장 극적인 일 중의 하나”라고 소감을 밝혔다.

케보키안 박사는 8년여 전 루게릭병 환자에게 독극물을 투입, 안락사할 수 있도록 도와줘 2급살인죄로 미시간 감옥에서 복역해왔다.

그의 출감으로 미국 내 안락사 논쟁이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케보키안 박사는 CBS와의 인터뷰에서 “가석방 기간 시한부 환자의 안락사 상담을 모두 거절하기로 가석방위원회와 약속했다”며 “안락사 요구를 거부하는 것은 나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안락사를 합법화하고 있는 유일한 곳은 오리건주로 1998~2006년 292명의 환자가 안락사됐다.

한편 케보키안 박사는 현재 강연 요청이 밀려 있는 상태이며 강연료는 건당 최소한 5만~10만달러(약 4,650만~9,3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