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웰다잉

말기환자 권리장전(末期患者 權利章典)

말기환자 권리장전은 1975년 사우스웨스턴 미시간 연수교육위원회 후원으로 아멜리아 바스라 주도로 열린“말기환자와 그를 돕는 사람들”주제의 세미나에서 채택되었다.  이 권리장전은 책 <마지막 여행>(매기 캘리넌 지음, 도서출판 프리뷰)에 부록으로 실려 있다.  [출처 : 웰다잉 카르페디엄]

▷ 나는 죽을 때 까지 살아있는 사람으로 대우받을 권리가 있다.
나의 병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지라도 희망적인 생각을 가질 권리가 있다.
 나의 병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지라도 나를 돌보는 사람들이 희망을 버리지 않기를 바란다.
 나의 죽음에 대해서 나의 느낌이나 감정을 나의 방법으로 표현할 권리가 있다.
 나를 어떻게 돌볼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에 나도 참여할 권리가 있다.
 이제 치료의 목표가 평안함을 목표로 하더라도, 의료적 처치를 계속해주기를 기대할 권리가 있다.
 나는 혼자서 외롭게 죽고 싶지 않다.
 나는 통증완화 치료를 받기를 원한다.
 나의 모든 질문에 정직하게 대답해주기를 바란다.
 나를 속이려 하지 않기를 바란다.
 나의 가족들이 나의 죽음을 수용하도록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다.
 나는 평화롭고 존엄하게 죽을 권리가 있다.
 나의 결정이 다른 사람의 신념과 다를지라도 나의 독자성을 존중해주기를 바란다.
 나의 종교적 판단이나 영성을 추구하는 일이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라도 존중해 주기 바란다.
 나의 육체는 사후에도 품위를 잃지 않도록 처리해주기 바란다
 나를 돌보는 분은 나의 요구를 이해하려고 애쓰며, 또 내가 죽음을 잘 맞을 수 있도록 돕는 일을 잘 감당할 수 있기 위해 섬세하고 지식이 풍부한 분으로부터 보살핌을 받기를 원한다.


The Dying Person's Bill of Rights

1. I have the right to be treated as a living human being until I die. 
2. I have the right to maintain a sense of hopefulness however changing its focus may be. 
3. I have the right to be cared for by those who can maintain a sense of hopefulness, however changing this might be. 
4. I have the right to express my feelings and emotions about my approaching death in my own way. 
5. I hav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decisions concerning my care. 
6. I have the right to expect continuing medical and nursing attention even though “cure” goals must be changed to “comfort” goals. 
7. I have the right not to die alone. 
8. I have the right to be free from pain. 
9. I have the right to have my question answered honestly. 
10. I have the right not to be deceived. 
11. I have the right to have help from and for my family in accepting my death. 
12. I have the right to die in peace and dignity. 
13. I have the right to retain my individuality and not be judged for my decisions which may be contrary to beliefs of others. 
14. I have the right to discuss and engage my religious and/or spiritual experiences, whatever these may mean to others. 
15. I have the right to expect that the sanctity of the human body will be respected after death. 
16. I have the right to be cared for by caring, sensitive, knowledgeable people who will attempt to understand my needs and will be able to gain some satisfaction in helping me face my death.

*Created at a workshop, "The Terminally Ill Patient and the Helping Person," in Lansing Michigan sponsored by the South Western Michigan Inservice Education Council and conducted by Amelia Barbus (1975), Associate Professor of Nursing, Wayne State University
.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