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남원문화원은 홈페이지를 통해 미라 발견 소식을 전했다. 문화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전남 곡성군 근촌리의 야산에서 광주 이씨 문경공지파 덕열(德悅)의 부인인 청풍 김씨(淸風 金氏)의 미라가 발견됐다.
후손들이 이장하는 과정에서 나온 미라는 머리카락이 그대로 남아있는 등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은 편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라로 발견된 청풍김씨의 묘는 옻칠을 한 관에 시신을 모셔 안치한 후 주위를 석회, 숯, 모래 등을 혼합하여 만든 '회격묘'다. 이런 회격묘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단단해져 산소의 유입을 차단되면서 미라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같은 장례문화는 조선중기 이후 주자가례가 표준으로 자리 잡으며 양반가 특히 사대부의 일반적인 장례방식으로 유행했다. 한편, 청풍김씨의 남편은 양호당 이덕열(1534~1599)은 조선중기 문신으로 영의정을 지낸 이준경의 아들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당시 성주목사로 있으면서 성주성 내에 왜적이 웅거하고 있는데도 성을 떠나지 않고 굳게 지키면서 도망한 군사들을 수습해 적을 토벌하였다. 특히 1592년 7월부터 1597년 4월까지 임진왜란의 상황과 자신의 역할 등을 기록한 '양호당일기'를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