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김정은 생모 고영희 호화묘지, 여기 있었네

출신성분 떄문에 공개 참배는 못해


북한 김정은 제1비서의 생모인 고영희(고용희)의 무덤이 평양 대성산에 조성돼 있는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산하 한미연구소(SAIS)의 커티스 멜빈 연구원은 "김정은 제1비서의 생모인 고영희의 무덤은 지난 2012년 5월에서 10월 사이에 완성됐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다. 멜빈 연구원은 "푸른 숲을 배경으로 녹지 위에 커다란 무덤이 있고, 무덤 주변에는 대리석이 깔려 있으며, 고영희의 무덤에서 정면으로 김일성·김정일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이 있다"고 설명했다. 묘지 좌우에는 각각 저수지가 보이고 소나무 숲과 잔디 등으로 묘지 주변이 잘 관리되고 있으며, 풍수지리도 고려한 것으로 추정됐다.

북한의 언론매체들은 아직 고영희의 무덤을 소개하거나 북한 주민이 방문했다는 보도를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북한이 고영희가 일본 귀국자 출신이라는 점으로 우상화하는 작업을 완성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고용희는 제주 출신의 고경택 씨의 딸로 1952년 일본에서 태어나 1962년 부친과 함께 북한에 갔다. 북한 만수대예술단에서 무용수로 활동하던 중 김정일 위원장을 만나 아들 정철, 정은, 딸 여정을 뒀으며, 2004년 해외에서 유방암 치료 중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