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꽃무늬 유골함, 화려한 장례예술

집안의 유골함을 예술로 승화, 美서 산업적 발전

 
장례예술과 유골(遺骨)예술이 미국에서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8일 보도했다.
로렌 클로슨(Clauson·50)은 거실 유리창 곁에 크리스토퍼 모엔치(Moench)라는 예술가가 디자인 한 원통 도자기를 놓아두고 있다. 그 안에는 1년 전 죽은 어머니의 유골이 담겨 있다. 도자기 표면엔 어머니가 좋아하던 뉴잉글랜드 지역의 낙엽 무늬가 그려져 있다. 클로슨은 “어머니는 항상 이곳에 계신다”며 “내 곁에 어머니가 있다는 것에 안도한다”고 말했다.

이 도자기는 미국에서 꽃피고 있는 장례 예술 운동의 대표적 사례다. 샌프란시스코 소노마 카운티의 세바스토폴에서는 오는 27일 고인(故人)의 유골을 담은 항아리나 유골로 만든 연필 등 여러 작품들을 모은 전시회가 열린다. 이 전시회에는 죽음이라는 주제를 새로운 예술산업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40명의 예술가들이 동참한다.

지난 가을에는 필라델피아에서 ‘유골(遺骨)에서 예술로’라는 주제로 전시회가 열리기도 했다. 이들은 장례 예술에 대해 “예술과 아름다움은 불안을 누그러뜨린다”며 “죽음이라는 불안을 없애는 것이 우리의 최대 목표”라고 말했다.

북미화장협회에 따르면 10년 전 미국인의 화장(火葬) 비율은 20.1%였지만 2005년에는 32%로 증가했다. 2025년엔 화장 비율이 51% 이상이 될 것으로 협회는 전망한다. 미국 내 장례와 관련된 ‘사망 관리업’은 현재 110억달러 규모로 알려졌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