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중국의 불법 장기거래 실태, 충격적

중국의 불법 장기 거래 규모가 연간 10억달러(1조1천억원)에 달한다고 고발하는 다큐멘터리가 나왔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데이비드 메이터스 캐나다 인권 변호사와 데이비드 킬고어 캐나다 전 국회의원은 최근 방영된 한 다큐멘터리에서 중국에서 연간 1만여 건의 장기 이식 수술이 이뤄지고 있으며, 정식 경로를 통해 조달되는 장기는 매우 적다고 고발했다.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 장기 이식 수술 국가이지만 민간의 자발적인 장기 기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식용 장기는 대부분이 불법으로 조달된다는 것이다. 중국의 한 무장경찰관은 '장기 적출: 중국의 불법 장기 거래'라는 제목의 이 다큐멘터리에서 한 여성을 마취없이 시술해 장기를 적출하는 광경을 직접 목격한 적이 있다고 폭로했다.


중국 정부는 불법 이식 장기가 대부분 사형수에서 적출된 것이라고 시인하고 올해부터 인권 침해 논란이 불거진 사형수 장기 적출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불법 장기 적출은 사형수 이외에 불법으로 규정된 법륜공(法輪功·파룬궁) 신도, 노동교화소 수감자, 유랑민을 대상으로도 이뤄진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메이터스 변호사는 중국의 생체 장기적출에 대한 보고서와 저서에서 중국에서 진행된 매년 약 1만 건의 장기이식 수술 중에서 75%가 파룬궁 수련자의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중국 위생부 부부장을 지낸 중국장기기증이식위원회 황제푸(黃潔夫) 주임위원은 지난 3월 TV의 한 방담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국의 장기 적출은 더러운 이익 사슬을 형성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그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랜싯'(Lancet)에 기고한 글에서 "중국에서 이식용 장기의 65%는 사망자의 시신에서 나오며 그중 95%가 사형수"라고 말했다. 황 주임위원은 최근 정식 기소된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이 공안부장 재직 당시 국가 차원에서 수감자들을 생체 장기은행으로 이용하는 책임자였다고 폭로한 바 있다. 한편 중국이 사형수 장기 적출을 금지함에 따라 앞으로 장기 이식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음성적인 장기 매매가 더 성행할 것이라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