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알고 계십니까? '만(卍)'자의 의미와 사연

만(卍)자 하면, 히틀러, 나치,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 제2차 세계대전을 떠올리곤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점집에서 흔히 볼 수 있다. 1947년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만(卍)자는 행운이나 복을 나타내는 길상(吉祥)을 나타내는 상징이었다. 하지만 만(卍)자는 훨씬 더 깊은 의미를 갖는다.


만(卍)자는 산스크리트어인 ‘스와스티카(Swastika)’에서 유래했다. ‘스와(swa)’는 ‘보다 높은 자아’를, ’아스티(asti)’는 ‘존재’라는 뜻이고, ‘카(ka)’는 접미사다. ‘스와스티카(Swastika)’를 직역하면 ‘보다 높은 자아의 존재’라는 뜻이다.


만(卍)자는 중국, 인도, 페루, 이스라엘, 일본, 에티오피아 등 거의 모든 문화에서 발견된다. 또, 일부 동굴에서 발견된 만자 부호는 1만 년 전에 새겨진 것으로 밝혀졌다.


만(卍)자는 회전하는 태양을 나타내고 무한성, 연속 창조, 회전하는 바퀴를 상징한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숫자 1만을 상징하기도 한다. 만자가 시계 방향으로 돌면, 이는 우주의 에너지, 힘, 지혜를 나타낸다. 반면 만자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자비를 상징한다.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만(卍)자 부호가 발견됐다.

                                                      

                     ▲고대 마케도니아 투구(기원전 350~325)에 새겨진 만(卍)자 부호가 선명하다.

                      투구는 이탈리아의 유적지 헤르쿨라네움(Herculanum)에서 발굴됐다.

                               (Cabinet des Medailles, Paris/Wikimedia Commons)

                        ▲이탈리아 볼세나 지역에서 발견된 만(卍)자가 새겨진 에트루리아의 펜던트.

                                                        (기원전 700~650).

                            ▲기원후(A.D.) 750~1375에 번성했던 페루의 시칸(Sican)/람바예케

                            (Lambayeque) 문명 유적지에서 나온 유물 (Wikimedia Commons).

                                ▲에티오피아 랄리벨라(Lalibela)에 있는 돌산을 깍아 만든 14개

                                  교회 건물(rock-hewn church) 창문 틀의 만(卍)자.

                                             (Samzhab/Wikimedia Commons).

                                              ▲ 홍콩 란타우 섬에 있는 부처님 상.

                               ▲빌라 로마나 라 올메다(Villa Romana La Olmeda)에 있는 고대

                                           로마 모자이크. (Wikimedia Commons)

                                        ▲이스라엘 샤베이 치온(Shavei Tzion)서 발굴된

                                     비잔틴 교회에서 나온 모자이크에 만(卍)자가 새겨져 있다.

                              ▲튀니지 수스(Sousse)에서 발굴된 기원후(A.D.) 2세기의 로마

                         모자이크에 새겨진 만(卍)자(Maciej Szczepańczyk/Wikimedia Commons)

                              ▲그리스 아티카에서 출토된 도기(기원전(B.C.) 780년)에 두개의

                                  만(卍)자 부호가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그려져 있다.

                                  ▲이란 루드바르(Rudbar) 근처의 고대 유적지인 마를리크(Marlik)

                                      유적지에서 발굴된 고대 금 목걸이에 있는 만(卍)자 부호.

                                     ▲써니 비치 네세바르(Sunny Beach Nesebar)

                                          ▲ 칼스버그(Carlsberg)의 코끼리 탑.

                                              ▲한국 사찰의 만(卍)자.

                                                ▲ 베트남 고대 사원 장식물. (Nha Trang)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