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안락사 청원, 나는 삶을 사랑합니다. 삶이란...

사랑하는 여인과도 같고, 머릿결을 스치는 바람과도 같으며, 얼굴을 비추는 햇살과도 같습니다

 
“대통령께, 나는 삶을 사랑합니다. 삶이란 사랑하는 여인과도 같고, 머릿결을 스치는 바람과도 같으며, 얼굴을 비추는 햇살과도 같습니다. 하지만 삶은 나를 떠나는 여인 같기도 하며, 비오는 날이기도 하고, 당신을 속이는 친구일 때도 있습니다.”

40년 넘게 앓아온 근위축증으로 병상에 누운 이탈리아 남성 피에르지오르지오 웰비(Piergiorgio Welby·60). “내게 남은 건 더 이상 삶이 아니고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것뿐”이라며 안락사를 허용해 달라고 이탈리아 대통령에게 청원서를 보낸 웰비씨 사연은 지난 수주 동안 가톨릭 국가 이탈리아에 뜨거운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가톨릭 전통의 이탈리아는 ‘안락사’가 법적으로 금지돼 있다. 하지만 웰비씨의 사연을 놓고 여론의 64%는 “안락사 권리를 인정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웰비씨는 10대 때 근위축증을 앓기 시작해 33세부터 휠체어에 몸을 의지해 살아왔다. 9년 전부터는 더 이상 몸을 움직일 수가 없어 튜브로 음식을 공급 받고, 인공 호흡기로 생명을 유지하며, 음성합성장치를 이용해 의사소통했다.

“인공호흡기로 유지하는 생명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지난 9월 웰비씨는 조르지오 나폴리타노(Napolitano) 대통령에게 안락사 청원서를 보냈다. 나폴리타노 대통령은 즉각 답장을 보냈고, 각계각층에 건전한 논쟁이 불붙기를 촉구했다.

이에 따라 로마 법원이 웰비씨의 청원을 검토했다. 지난 16일 판결이 나왔다. 법의 테두리에서 안락사를 허용하기 힘들다는 것이었다. 이탈리아 법에 따르면, 원하지 않는 의학적 치료를 거부할 환자의 권리는 인정된다. 하지만 설사 환자의 동의가 있어도 죽음을 돕는 행위는 ‘범죄’로 간주된다. 그러니까 의사가 웰비씨의 인공 호흡기를 제거하는 행위는 법적으로 허용이 안 되는 것이다.

가톨릭의 총본산 바티칸도 고민에 빠졌다. 생명 존중은 가톨릭 교리의 핵심이다. 하지만 가톨릭에서 생명은 태어나서부터 ‘자연스럽게’ 죽을 때까지 보호될 것을 강조하며 인위적으로 생명을 연장하는 행위에도 부정적인 입장이다. 지난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안락사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병자들이 존엄하게 죽음을 맞을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시인이기도, 작가이기도 한 웰비씨는 ‘자연사’를 주장하는 바티칸 입장에 이렇게 되물었다. “배에 구멍을 내고 호스로 단백질과 지방을 공급하는 게 자연적인 건가요? 인위적으로 먹여주고, 숨쉬게 하고, 죽음을 지연시키는 지금의 상태가 자연적인 건가요?”

결국 법원 판결이 있고 나서, 웰비씨는 21일 인공호흡기를 떼는 ‘치료 거부’ 권한을 택했고 곧 숨졌다. AP 통신은 담당 의사인 마리오 리치오(Riccio)가 이날 인공호흡기를 떼냈다고 보도했다. 의사는 이로 인해, 최고 15년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의사 리치오는 자신이 택한 조치는 “안락사가 아닌, 치료의 중단”이라며, “치료 거부는 환자의 권리”라고 말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