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모두 모두 안녕” 존엄사 예고 후 평화로운 죽음

“내가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들이여, 안녕! 오늘이 내가 불치병에 맞서 존엄하게 죽기로 한 바로 그날이에요.”


악성 뇌종양을 앓던 29살 미국인 여성 브리터니 메이너드(사진)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마지막 인사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고 <피플>이 2일 보도했다. 그는 지난달 “주치의의 도움으로 11월1일 세상을 등질 계획”이라며, 담담하게 자신의 죽음에 대한 계획과 심경을 담은 동영상을 공개해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린 바 있다.  예고한 대로 그는 1일 오리건주의 존엄사법에 따라 처방받은 약을 먹고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평화롭게 눈을 감았다.


캘리포니아주에 살던 메이너드는 존엄사법이 있는 오리건주로 거주지를 옮기고, 생의 마지막 날들을 존엄사법 확대에 바쳤다. 지난주 새로 공개한 동영상에서는 “11월2일에 내가 떠난 상황이라면, 내 가족이 내 선택을 자랑스러워하고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1997년 오리건주가 존엄사법을 제정한 뒤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 이는 750여명에 이른다. 그러나 메이너드처럼 35살 미만은 6명에 불과하다고 <워싱턴 포스트>는 전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