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구석기∼조선 시대 대규모 복합유적 발굴

충북 충주 호암동에서 고려 시대 인장(印章)과 청동거울 등 구석기∼조선 시대 대규모 복합유적이 발굴됐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에 따르면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원장 신용민)이 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충주 호암동 택지개발사업부지 내 유적(충북 충주시 호암동·지현동 일원)'에서 고려 시대 인장(印章)과 청동거울 등 구석기∼조선 시대 대규모 복합유적이 발굴됐다. 지난 2012년 10월부터 충주 호암동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구석기 유적 △삼국 시대 고분 △고려~조선 시대 분묘 △고려 시대 토성 △조선 시대 기왓가마 등이 확인돼 충주 지역의 대규모 복합유적으로 평가된다. 중기 구석기(약 7만 5천년 전) 유적에서는 찍개, 몸돌, 격지 등이 출토됐으며 50여 기의 삼국 시대 고분은 6세기 중엽에서 7세기 중엽에 축조된 앞트기식 돌방무덤(횡구식 석실묘)으로 추가장(追加葬)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진흥왕 시기 이후 신라가 북쪽으로 진출하면서 충주 지역이 신라에 복속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횡구식 고분(橫口式 古墳)은 먼저 세 벽을 구축하고 천장돌을 덮은 다음 한쪽으로 주검을 넣고 밖에서 벽을 막아 만든 무덤이다. 석실묘(石室墓)는 돌로 널을 안치하는 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려 봉토를 만든 무덤이고 추가장(追加葬)은 돌방무덤(石室墓) 단계에 이르러 앞트기(橫口式) 또는 굴식(橫穴式) 출입시설을 갖추면서 추가로 여러 번 장례가 이뤄지는 것이다. 고려~조선 시대 분묘는 총 1천300여 기가 발굴됐으며 청동거울(銅鏡)과 인장(印章:도장), 그릇, 숟가락, 젓가락, 도자기 등이 발견됐다. 특히 인장 3점에 장식된 사자 등 동물 문양은 해학적이고 특이하며 글자는 鳳(봉) 등으로 해석되는 것 외에는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총 28점이 출토된 거울은 최대 지름이 23㎝인 쌍룡운문대경(雙龍雲文大鏡:두 마리 용과 구름문양)과 팔사자문경(八獅子文鏡:여덟사자문양) 등이 있으며 아름다운 문양이 새겨진 거울을 통해 고려 시대의 뛰어난 미적·공예적 가치를 느낄 수 있다.


 

고려 시대 토성은 4 폭으로 석렬(石列)을 1단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것으로, 성벽에 일정한 간격(50~70)으로 치성(雉城:성벽에 접근하는 적에 대한 관찰과 방어를 위해 성벽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덧붙여 쌓은 성의 구조물)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됐다. 또 성벽조사 과정에서 '龍山寺(용산사)', '官(관)'자를 새긴 기와 조각이 발견됐는데 이를 근거로 토성의 축조 시기인 13세기를 전후해 주변에 용산사가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어 흥미롭다. 아울러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기왓가마 6기 중 한 가마에서는 수키와, 암키와, 벽돌 등 551점이 차곡차곡 쟁여진 상태 그대로 노출됐다. 이는 기와를 굽다가 천정이 무너지면서 폐기된 채 유지된 것으로, 가마 내 기와의 재임방법을 파악할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로 평가된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와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앞으로 국민과 공유할 수 있는 '호암지구 발굴유물 특별전'과 학술심포지엄 등을 공동으로 열 예정이다. 이와 함께 토지주택공사는 충주 호암동 유적의 중요 구간을 정비한 후 유적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한편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29일 오후 3시 30분 '충주 호암동 택지개발사업부지 내 유적'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