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가족사랑은 시간도 공간도 훌쩍 뛰어 넘는가...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3주기를 앞두고 영화 같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지난 1월 12일 이와테현에 사는 한 50대 부부에게 편지 한 통이 배달됐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3일 보도했다. 이와테현은 당시 미야기현 등과 함께 쓰나미의 직격탄을 맞은 곳이다. 부부는 흰  봉투를 보고 눈을 의심했다. 발신인으로 3년 전 쓰나미에 휩쓸려간 딸(당시 26세)의  이름이 적혀 있었던 것이다. 수개월 간 쓰레기더미까지 뒤지며 미친 듯 헤맸고, 시신도 못 찾은 채 무너져 내리는  가슴을 부여잡고 사망신고를 했던 딸이다. 잠시 ‘어딘가에 살아 있었나’하고 희망을 품었던 부부는 2장으로 된 편지를 읽고 다시 눈물을 흘렸다. 이 편지는 2004년에 보낸 것이었다. 어떻게 된 사연일까 ?

 

2003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딸은 2004년 1월 10일 아이치현에 있는 ‘메이지무라’라는 박물관을 가게 됐다. 그곳에는 편지를 맡겨 놓으면 10년간 보관했다가 원하는 곳으로 보내주는 서비스가 있었다. 7년 후의 비극을 상상도 못한 딸이 엄마, 아빠에게 쓴 미래 편지가 2014년 1월 12일에 도착한 것이다.

 

“이 편지가 닿을 때쯤이면 엄마, 아빠에겐 손자, 손녀가 있겠지?”

 

딸은 10년 후쯤이면 좋은 남편을 만나 가정을 꾸리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그는 2010년에 8년간 교제한  중학교 동창과 약혼을 했다고 한다. 대지진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 예상은 현실이 됐겠죠. “만일 그때까지 혼자면 어쩌지?”라는  애교 섞인 걱정도 했다. “그동안 은혜를 많이 입었으니 이제 내가 엄마, 아빠를 보살필게.” 당시는 딸이 교토의 한 버스회사에 취직해  사회에 첫 발을 내딛었을 때다. 엄마, 아빠에게 의젓함을 보여주고 싶었나 보다.

 

아버지(59)는 “(딸이 사라진 후) 언제든 죽어도 상관없다고 생각했다”며 “이젠 하늘나라에 있는 딸이 웃을 수 있도록 열심히 살아야겠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 소식이 인터넷을 타고 일본은 물론 국내에 전해지면서 네티즌들의 눈물샘을 자극하고 있다. “다시는 이런 재해가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 “너무 안타깝다” “부디 좋은 곳으로 가시길” 등의 댓글이 연이어 달리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