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100만대군 고구려 침공 수 양제 무덤발견

 

고구려 침공으로 우리나라에 잘 알려진 수(隋)나라 양제(煬帝)의 최종 매장지가 중국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시에서 발견됐다고 신화사가 전했다. 국가문물국과 중국고고학회는 전날 양저우에서 '수양제묘 발굴성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월 양저우시 시후(西湖) 진에서 발견된 두 개의 벽돌 고분이 수양제 양광(楊廣)과 소(蕭)황후의 최종 매장지역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역사기록에 따르면 양제는 대업(大業·양제의 연호) 14년이던 618년 양저우에서 부하에게 살해당했고 그의 매장지는 당(唐)나라 등을 거치면서 세 차례 옮겨졌다.

이 무덤에서는 발굴 초기부터 '수고양제묘지'(隋故煬帝墓誌)라는 글귀가 나오고 묘지에 적힌 사망시간도 '대업 14년'으로 돼 있어 수양제의 최종 매장지일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왔다. 국가문물국은 이 고분에서 옥대 13개 등을 포함해 대량의 수장품과 남성 치아 두 개, 여성 유골이 발굴됐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10만9000㎡의 매장지에서 고분 흔적 136개, 도랑 2개, 벽돌터 1개, 우물 5개, 구덩이 29개 등이 발굴됐다. 그러나 매장소가 있는 릉은 아직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문물국은 수양제 무덤이 이미 수차례 도굴을 당해 많은 유물이 사라진 상태였으며 도굴시기는 중화민국(中華民國) 성립(1912년) 이전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수나라 제2대 황제(569∼618)인 양제는 대운하(大運河) 등 초대형 토목공사를 무리하게 추진하고, 100만 명이 넘는 대군을 일으켜 세 차례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가 실패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양제는 생전에 체계적으로 법령을 정비했으며 그가 추진한 대운하 개통은 결국 강남·북의 물류망을 연결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는 점 등 때문에 단순히 악정만을 일삼은 황제는 아니었다는 평가도 받는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