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이혼도 산업이다

▶이혼 전문 변호사에서부터 스타일 변신·자녀 양육까지… ▶40개 업체 참가해 "조언"
"이혼했다고 이마에 써 붙이고 다닐 필요는 없잖아요. 다른 사람을 소개받아 첫 데이트에 나설 땐 TMI를 피하세요. "너무 많은 정보(Too Much Information)" 말입니다. 첫 데이트에서 전 남편에게 다른 여자가 생겨서 이혼했다며 토로하는 것, 그것이 바로 "너무 많은 정보"입니다."

데이트 코치 에이미 로런의 강연에 참가자들은 진지하게 귀를 기울였다.

미국 뉴욕 맨해튼의 대형 전시장 "메트로폴리탄 파빌리온". 대기업 신제품 발표회와 결혼 엑스포가 주로 열렸던 이 전시장이 1일 뉴욕의 첫 이혼 엑스포로 들썩였다. "똑똑한 새 출발: 모던 이혼 엑스포"라는 이름으로 지난달 31일부터 이틀 동안 열린 이혼 전시회는 75달러(약 8만4400원)의 다소 비싼 입장료에도 약 500명이 몰렸다.

이혼 엑스포에는 이혼 전문 변호사부터 스타일 컨설턴트까지, 약 40개 업체가 참가해 이혼 후 삶에 대한 조언을 내놓았다. 메이시스 백화점은 "새 출발을 위한 근사한 스타일 10개가 필요하다고요? 우리가 도와드립니다"라는 문구를 내걸고 쇼핑 조언을 해주는 "퍼스널 쇼퍼"를 홍보했다.

"이혼 기념" 반지에 문구를 새겨 주는 액세서리 회사 "제인, 창피한 줄 알아라(Shame on Jane)"도 고객의 눈길을 끌었다. 이혼 반지를 만드는 비용은 약 8~58달러. 액세서리 디자이너 킴벌리 폴리씨는 "트레이드 업(쓰던 물건을 웃돈 주고 산다는 뜻)" "새 몸을 신나게 흔들자"처럼 경쾌한 느낌을 주는 문구가 인기라고 말했다. 완전한 변신을 위한 헤어스타일리스트, 우울한 기분에서 벗어나게 해줄 인테리어 전문가들도 행사장에서 고객을 맞았다.

 
- 이혼 엑스포가 열린 1일 한 미용업체가 이혼 후 더 당당하게 보일 수 있도록 헤어스타일을 꾸며주는 행사를 진행했다. 이외에도 이혼 전문 변호사와 스타일 상담사 등 약 40개 업체가 참가했다.
행사 참가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자녀 양육이었다. "전처는 내가 아이를 보고 싶어 전화하면 받지 않다가 돈이 필요할 때만 연락을 합니다. 애들 때문에 외면할 수도 없고…분통이 터져요." 임상심리학자이자 이혼 중재자인 조나 슈라그 박사의 "이혼을 헤쳐나가는 양육" 세미나에 참가한 대니얼이라는 40대 남성이 토로한 전처에 대한 불만이다. 슈라그 박사는 "전처에 대한 불만은 이해하지만, 당신의 분노가 아이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조언했다.

미국에서는 첫 결혼의 41%, 두 번째 결혼의 약 60%가 이혼으로 끝난다. 최근 결혼 산업만큼 이혼 산업이 활성화하면서 이혼 산업 규모가 약 1000억달러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혼 업계가 이혼을 긍정적 현상처럼 보이게 부추긴다는 비난이 일면서 "이혼 산업에 반대하는 아빠들" 같은 인터넷 동호회도 생겨나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