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미국,사망자의 온라인계정 관리 이슈화

지난해 8월 팜 퍼미는 딸인 타라 머피가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녀는 딸의 페이스북 계정을 관리할 수 있게 해달라고 페이스북 측에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래쉬 부부도 마찬가지였다. 15살된 아들이 자살하자 이유를 알기 위해 페이스북에 아들 계정 비밀번호를 요청했다. 하지만 10개월간 공방 끝에 아들 페이스북 페이지를 내려받은 CD밖에 얻지 못했다.

미국에서 죽은 사람의 온라인 계정 관리 절차인 "디지털 장례"에 대한 논의가 불붙고 있다. 계정 주인은 사망했지만 인터넷 기업 정책 때문에 가족들의 요구에도 계정을 삭제할 수 없고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기업들은 고객 사생활 보호 정책과 연방주의 법 때문에 가족들의 모든 요구 사항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은 온라인 삶이 실제 생활과 밀접하게 돌아가면서 죽은 사람들의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등 사후 온라인 계정 관리인 "디지털 장례"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미국 각 주 정부는 관련 법안을 만드는 중이다. 죽은 사람의 온라인 계정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아이다호주는 승인을 받은 유산 집행인에게 페이스북, 블로그, 이메일 등 죽은 사람의 온라인 계정을 관리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법을 최근 통과시켰다. 네브래스카, 인디애나, 로드 아일랜드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 않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법률 전문가는 “각 주가 법을 통과시켜도 본인 이외 다른 사람은 계정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규정이 더 우선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