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글로벌 가상묘지 아이툼 개설

중립성, 보안성 유지 스위스에 자료 보관

 

미국 팔로알토에 본사를 둔 벤처기업 아이포스트모템(I-Postmortem Ltd.)은 14일 국내외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사이버 가상 공간에 추모 공간과 가상 공동묘지를 만들 수 있는 서비스 아이툼닷컴과 아이메모리얼닷컴을 개설했다.

http://www.i-tomb.net 웹사이트는 전 세계에서 세상을 떠난 고인들의 가상의 추모 공간이 머무는 세계 가상 공동묘지다. 고인의 사진 동영상, 문서자료, 음악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추모 공간 자료로 게시할 수 있다. 헌정을 하거나 초에 불을 켜고, 꽃을 남기는 등 다양한 추모 행위를 할 수도 있다.

http://www.i-memorial.com 은 살아있는 사람들이 자신만의 고유한 추모비를 만들고, 사후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공간이다. 내 추모비 (My Memorial), 내 메시지 (My Messages), 내 마지막 소원(My Last Wishes) 세 가지 보안 공간을 제공한다. 내 추모비에 올린 자료는 본인이 사망할 경우 가상 공동묘지에 게재된다. 내 메시지에 담긴 자료는 미래의 특정일이 지정된 날짜에 지정된 사람에게 자료가 자동 발송된다.

회사 관계자는 자료에서 "이 곳의 모든 내용은 엄격하게 암호화되어 신뢰를 높이기 위해 국제적 중립성, 보안 및 안정성 면에서 선택된 국가인 스위스에 보관된다"며 "전략적 파트너인 세이프호스트(SAFE HOST)는 전세계 대형 은행, 통신회사 및 인터넷 회사의 일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위스 최고의 보안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자료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보관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에 대해 관계자는 "장례식장의 온라인 방명록이나 기타 추모 사이트와는 달리, 이 서비스들은 영구히 유지되도록 고안되어 있다"며 "우리 회사의 사업 모델은 광고나 데이터 판매 또는 파생 매출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가상묘지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중의 하나가 될 전망이며 죽음에 대처하고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추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전세계 인구는 1900년 16억에서 2011년 70억으로 크게 늘어남에 따라, 전세계에서 올해에만 5400만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묘지로 사용할 수 있는 땅은 세대를 거듭할 수록 점점 구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화장을 선택한 인구가 이미 30%에 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16개 언어를 지원하는 이 서비스는 아이툼의 경우 계정당 연간 50달러, 아이메모리얼은 연간 120달러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