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에티오피아 한국계 병원, 에티오피아를 깨웠다.

▶신식장비에 무료 수술… ▶자극받은 현지 병원들에 의료 서비스 경쟁 촉발
▶명성교회 김삼환 목사 "다음 목표는 의대 설립"

지난 6월 5일 오전(현지시각)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있는 명성기독병원(Myungsung Christian Medical center·MCM) 화상 환자 병실에는 온몸이 흉한 상처로 가득한 9살 소녀 에테네시양이 누워 있었다. 1년 전 에테네시는 빵을 굽는 화덕 옆에서 놀다가 불이 몸으로 옮아붙었다. 치료를 위해 어머니 데벨레(29)씨가 집과 텃밭까지 다 팔았지만 손에 쥔 돈은 2500비르(약 25만원)뿐이었다. 1만비르가 넘는 수술비의 4분의 1밖에 안 됐다.

그는 온몸에 진물이 흐르는 딸을 업고 8개월 동안 병원 10여곳을 돌아다니며 임시 치료만 받았다. 소녀를 살린 건 에티오피아 최초의 한국 병원 MCM이었다. 지난 4월 MCM 병원장 아이나(55·노르웨이) 박사는 지인으로부터 에테네시양의 딱한 사정을 전해듣고 무료로 수술을 해줬다. 에테네시양은 "MCM이 아니었으면 지금도 치료를 못받고 거리를 헤맸을 것"이라며 "커서 MCM 의사가 되고 싶다"고 했다.

2004년 11월 아디스아바바에 세워진 한국 병원 MCM이 에티오피아를 바꾸고 있다. 의사 31명, 간호사 105명이 일하는 이 병원은 매달 6000여명의 현지 환자를 진료한다. 에테네시처럼 무료로 수술해주는 환자만 한 해 150명이 넘는다. 지난 2006년 12월에는 심장병으로 죽어가던 제메두(당시 7세)양을 한국으로 보내 판막 수술을 받도록 했다. 건강한 11세 소녀가 된 제메두양은 지난 1일 병원을 찾아 "MCM 선생님들이 내 생명의 은인"이라며 하얀 이를 드러내며 웃었다.

 
-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있는 명성기독병원(MCM) 화상환자 병실에서 아이나 MCM 병원장(사진 가운데)이 김철수 장로(오른쪽), 박시내 간호사(왼쪽)와 함께 에티오피아인 화상환자 에요의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MCM은 지난 1993년 8월 선교를 위해 에티오피아로 건너간 명성교회 김삼환(65) 목사가 맨발에 해진 옷을 입고 다니는 빈민들에 충격받아 설립을 결심했다. 하지만 병원 세우는 일은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현지 정부는 50년간 병원 부지 임대료로 4500만비르(약 45억원)를 요구했다. 반년 동안 정부 관계자들을 쫓아다닌 끝에 부지를 무료로 사용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 하지만 1996년 시작된 신축공사는 IMF 사태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2년 동안 중단됐다. 김 목사는 "좌절하기도 했지만 "한 번만 더 해보자"는 오기로 덤볐다"고 했다.

드디어 2004년 11월 84개 병상을 갖춘 3층 병원이 문을 열었다. 기르마 월데기오르기스 대통령도 병원을 방문해 개원을 축하했다. 신식 장비에 치료까지 잘한다는 소문이 퍼지자 환자 수는 매년 늘었다. 개원 초 월 2000여명에 불과하던 외래 환자 수는 이제 월 6000여명에 이른다. 건강검진을 위해 노모를 모시고 MCM을 찾은 이욥(43)은 "다들 치료가 힘들다고 할 때 에티오피아 국민들이 마지막으로 의지하는 곳이 바로 MCM"이라고 했다.

MCM은 올해 또 다른 기적을 계획하고 있다. 의사를 양성하는 의과대학을 세우는 일이다. 환자 수가 늘어나면서 부족해진 의사 수도 메울 수 있다. 에티오피아 타데세(59) 상공부 장관은 "MCM 의과대학이 설립되면 실력 있는 전문의들이 양성돼 제대로 된 의료 인프라가 구축될 것"이라고 했다. 김 목사는 "의과대학 건립은 6·25 때 우리를 도운 에티오피아를 위해 최고의 선물이 될 것"이라며 웃었다. [조선일보]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