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북한 김정남의 사모곡

 
- 러시아 모스크바 서쪽 트로예쿠롭스코예 공동묘지에 있는 김정남의 모친인 성혜림의 묘소. 방치되어 있던 때(위)와 정남이 와서 단장한 뒤 깨끗해진 모습이 비교된다. [러시아 한국대사관 공보실 제공]
▶어머니 성혜림 묘, 잡초 무성 소식에 모스크바로 날아가 묘지기 멱살잡이

북한판 ‘비운의 황태자’ 김정남. 똑같은 비운을 맞았던 어머니 성혜림에 대한 사모곡이 절절하다. 경남 창녕 출신으로 아버지를 따라 월북해 배우가 된 성혜림은 결혼한 몸으로 청년 김정일을 만난다. 그리고 1970년 청년 김정일과 동거해 1년 뒤 정남을 낳는다. 맏아들을 낳았음에도 혜림은 시아버지 고 김일성 주석의 인정을 못 받았다.

그리고 74년, 쫓겨나다시피 러시아로 떠났다. 2002년 그는 쓸쓸히 숨져 모스크바 서쪽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에 잠들었다. 한참 어릴 때 어머니를 여읜 정남의 회한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는 무덤 뒷면에 묘주로 자신의 이름을 새겨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못다한 사랑을 표현했다. 북한 당국은 묘지기로 최준덕을 남겼다.

북에서 주치의로 성혜림을 돌봤던 최는 성혜림이 ‘쫓겨날 때’ 자청해서 왔고 성혜림이 숨지자 역시 자청해서 남았다. 그러던 어느 날인 2009년 8월 한국 모 일간지에 ‘성혜림의 묘가 잡초와 낙엽이 쌓여 무연고 묘를 연상케 한다”는 보도가 실렸다. 김정남은 분노했다. “자기 어머니 묘 하나 관리하지 못하는 불효자식이라고 세계 사람 앞에서 망신당했다”며 펄쩍 뛰었다. 그리고 즉시 모스크바로 날아갔다. 묘지기 ‘최 영감’을 멱살잡이까지 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