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중국,“돈없으면 죽지도못해”, 장례업계 폭리

조상의 묘를 재단장하고 제사도 지내는 중국의 전통 명절인 ‘청명절(淸明節)’을 맞은 5일, 중국 전역이 성묘인파로 인산인해다. 지난 2008년부터 청명절이 법정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이전과는 달리 참배객들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청명절이 다가오면 중국 정부는 대대적으로 장례업계의 폭리를 감시하고 화장, 자연장 등 새로운 매장문화를 권장한다. 그러나 장례 절차에 들어가는 각종 비용과 묘지 가격은 날로 치솟고 있다.

특히 묘지 가격이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요즘 베이징이나 상하이의 묘지 가격은 고급 주택 가격과 맞먹는다. 묘지 개발 이윤은 이미 부동산업계의 이윤을 넘어섰다. 때문에 돈 없는 서민들은 “돈이 없으면 죽지도 못한다”고 소리치고 있다.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 사는 장(張)모 씨는 부친이 얼마 전 병으로 세상을 떠나 묘지 가격을 알아보고는 깜짝 놀랐다. 청명절 묘지 특가는 가장 싼 것이 3000위안, 가장 비싼 것은 10만위안에 달했다. 그는 “묘지 가격이 아파트 가격보다 더 비싸 감당이 안 된다”고 토로했다.

베이징 스징산(石景山)구에 사는 스(石)모 여사는 시댁 외할머니가 사망해 2만위안이라는 목돈을 준비해야 했다. 정상 가격의 2~3배에 달하는 관, 수의 등을 사야 했으며 베이징 근교 바다링(八達嶺)공동묘지에 7200위안짜리 묘지를 선택했다. 스 여사는 “2만위안은 반 년치 급여”라면서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지만 따지지 않아야 돌아가신 분에 대해 떳떳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장례시장은 엄청난 규모다. 2008년 기준으로 중국 사망인구가 9348만명이고 1인당 최저 장례비용을 2000위안(약 33만원)으로 잡으면 연 200억위안(약 3300억원)에 가깝다. 여기에 납골당이나 묘지 가격 등의 비용을 더하면 2000억위안(약 3조3000억원)을 훌쩍 넘어선다.

중국 민정부는 정부 통일 가격을 만들고 비영리의 공공서비스업체를 지정하는 등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는 제도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비웃기나 하듯 각종 비용은 날로 치솟고 있어 서민 사이에는 죽어서도 마음 편히 쉬지도 못한다는 말이 나도는 실정이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