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할린 日강제동원 희생자묘지 580기 확인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 사할린 한인 공동묘지 확인작업
일제시대에 사할린 지역으로 강제동원된 한국인들의 묘지가 정부 차원의 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국무총리 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는 2007년 7월부터 올 여름까지 3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해 사할린 지역의 조선인 묘지 580기를 찾아내 이 가운데 125명의 유족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정혜경 조사 2과장은 "사할린에서 한인이 묻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공동묘지를 조사해 신원이 확인된 580기의 한인 묘지를 찾았다"며 "이들 중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강제동원 피해 희생자들"이라고 말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단독으로 해외 지역의 강제동원 피해 사망자나 유해에 대해 현지조사를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특히 사할린 지역은 민간차원에서도 유해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었다. 위원회는 사할린 지역에서 한인이 묻힌 곳으로 확인된 21개 공동묘지를 찾았으며 전체 묘지 면적의 2%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현지 조사를 마친 상태다.

이번에 확인한 580기의 묘지는 주로 유즈노사할린스크와 브이코프 지역에서 찾아낸 것으로 이 일대에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탄광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 과장은 "사할린 지역에 강제동원되었다가 해방 후 귀국하지 못하고 현지에 묻힌 피해자는 대략 4만여명으로 추정된다"며 "이들 대부분은 당시 탄광이나 벌채장, 토목공사 등에 강제동원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력이 되는 한 전수 조사를 벌일 계획이나 조사보다 더 중요한 게 유족을 찾아내는 것"이라며 "묘비에 이름이나 본적지가 있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찾기가 수월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어 유족 확인 작업이 힘들다"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조사와 유족 확인 작업을 병행하는게 앞으로의 계획"이라며 "유족이 확인되는 대로 유골 봉환 문제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