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묘지 부족 갈수록 심화 뚜렷

14일 보건복지부 자료

매장을 위해 조성된 묘지 10개 가운데 6개는 이미 시신이 안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 평균으로 보면 매장률이 절반을 넘지만 서울 등 대도시 주변은 매장률이 70~99%에 달한다. 특히 이들 지역은 납골당 봉안율마저 절반을 넘은 곳도 있어 묘지뿐 아니라 납골당 부족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다.

14일 보건복지부의 ‘각 시·도별 묘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법인)가 운영하는 묘지의 총 매장가능 기수는 2백23만6천여기다. (묘지) 허가면적으로 따지면 모두 64.2㎢로 여의도 면적(8.4㎢)의 7.6배다. 이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으로 1백35만6천여기가 매장돼 전국 평균 매장률은 60.6%였다.

전국적으로는 아직 여유가 있지만 대도시 주변은 이미 묘지가 포화상태다. 실제로 서울은 수용가능한 8만8천6백48기 중 8만8천3백22기가 사용돼 매장률 99.6%를 기록했다. 서울뿐 아니라 울산, 대전, 부산 등 대도시 지역의 묘지 매장률도 80% 내외다.
반면 강원, 경북 등은 50% 이하의 매장률을 기록,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었다.

정부는 묘지가 부족해지자 화장을 장려하고 있지만 대도시 주변에는 납골당 구하기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 납골당은 총 수용가능치 1백62만7천여기 중 50만8천여기가 봉안돼 31.2%의 봉안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부산의 봉안율은 82%를 넘었고, 서울과 광주도 각각 78.3%와 60.7%의 봉안율을 기록했다.

정부는 서울 등지에 납골당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주민과 해당 지자체의 반발에 부딪쳐 엄두도 못내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