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정교회 본산 그리스 화장(火葬) 합법화

▶교회 반대 불구 법원 승인..수요 급증할 듯
▶인구의 95%가 정교회 신도인 그리스에서도 화장(火葬) 풍습이 확산될 전망이다. 29일 일간 카티메리니 등 현지 신문에 따르면 그리스 최고 행정법원은 지난주 그리스 정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화장(火葬) 합법화 법안을 최종 승인했다.

그리스 의회는 2006년 3월 정부가 입안한 화장 합법화 법안을 이미 통과시켰으며, 법원의 이날 판결로 그리스에서 화장터 건립이 본격화되고 화장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법안은 유족들이 친척이나 가족의 사망 후 60시간 내에 당국의 허가를 받아 화장을 치를 수 있으며, 유해는 거주지 밖 해안에서 1.5해리 이내의 해역이나 화장터 주변 정원 등에 뿌릴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화장 여부는 사망 전 본인이나 4촌 이내 친척들의 뜻에 따라 결정되며, 유족들 간에 의견이 다를 경우 검찰이 중재하고 최종 결정도 내릴 수 있도록 했다. 법원은 그러나 향후 분쟁의 소지를 막기 위해 유골이 돈으로 거래될 수 없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하는 등 법안의 손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법원의 최종 판결을 앞두고 아테네 시 당국은 지난해 이미 그리스의 첫 화장터 건립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리스 정교회는 육체는 신의 창조물이어서 태울 수 없으며, 심판의 날에 육체의 부활을 가로막는다는 이유로 화장을 금기시해왔으며, 정부의 화장 합법화 추진에도 반대해왔다.

그리스에서는 최근 수년간 공동묘지가 가득 찬데다 지난 10년간 비정교도들이 특히 발칸반도 국가 등으로부터 그리스로 더 많이 이주해와 화장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그러나 정교회의 반대로 인해 매장을 원하지 않는 많은 시민은 불가리아 등 주변 국가로 옮겨가서 화장을 치러왔다.

유럽에서 화장 풍습은 가톨릭이나 정교회보다는 프로테스탄트 전통이 강한 지역에서 더 빈번히 이뤄지고 있으며, 근래에는 가톨릭 국가에서도 매장보다는 화장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