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프랑스에서 꽃핀 향기로운 봄(춘향 春香)

 
▶연극평론가 김승열씨 佛서 발견
▶116년 전 유럽에 처음으로 ‘춘향전’을 소개했던 프랑스어 번역판 ‘향기로운 봄(春香·Printemps Parfum´e)’ 원본이 발견됐다.

‘향기로운 봄’은 한국 최초의 프랑스 유학생이었던 홍종우(1854∼1913)와 프랑스에서 작가 J H 로니가 협력해 번역한 것으로 1892년 ‘기욤 총서’의 한 권으로 발간됐다.

1936년 몬테카를로에서 춘향전을 각색한 발레 ‘사랑의 시련’을 초연한 러시아 안무가 미하일 포킨(1880∼1942)은 작품을 구상하면서 이 책을 무용 대본의 토대로 삼았다. ‘사랑의 시련’은 2006년 국립발레단에 의해 70년 만에 복원돼 재공연됐다.

‘사랑의 시련’의 초연 자료를 다수 발굴한 연극평론가 김승열(프랑스 파리 제8대학 공연예술학 박사과정) 씨는 21일 “미하일 포킨과 야수파 화가 앙드레 드랭이 만들었던 발레 ‘사랑의 시련’에 대한 박사논문을 집필하다 최초의 프랑스어판 춘향전 ‘향기로운 봄’을 최근 프랑스 고서점에서 찾아냈다”고 밝혔다.

이 책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복사본으로 연구된 사례는 있지만 원본은 희귀본이나 다름없다.

프랑스어 버전의 ‘향기로운 봄’은 원래 춘향전과 다른 점도 많다. 춘향은 기생이 아닌 서민의 딸로 나오고 월매도 나오지 않는다. 광한루에서 그네를 타고 있는 춘향에게 반한 이몽룡은 여장(女裝)을 한 채 춘향에게 접근하고, 옥으로 찾아간 이몽룡이 창살 사이로 두 손을 벌려 춘향과 키스를 하는 장면도 나온다.

“여장을 한 이도령을 만나 즐겁게 논 춘향은 그를 ‘사또의 딸’이라고 확신한다. 이도령과 헤어지고 늦게 집에 들어와 춘향은 피곤해 잠에 빠져든다. 춘향은 용이 자신의 몸을 휘감는 꿈을 꾼다….”(본문 중에서)

김승열 씨는 “춘향이 이도령을 처음 만난 날 밤에 ‘용이 몸을 휘감는 꿈을 꾼다’는 이도령의 원래 이름을 빗대어 몽룡(夢龍)이 ‘꿈속의 용’이라는 것을 암시한다”며 “포킨이 안무한 발레 ‘사랑의 시련’에서도 춘향에게 금은보화로 구애하는 서양대사(변사또를 각색한 인물)를 이도령이 용으로 변장해 응징하는 장면이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이도령의 정체성을 ‘용’으로 해석하고, ‘사또’라는 직함을 ‘만다린(중국 관리의 직함’)으로 번역했다”며 “‘사또의 딸’ 등 다른 책에서는 나오지 않는 표현들이 자주 겹치는 것을 볼 때 ‘향기로운 봄’은 포킨 발레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작가인 로니는 ‘향기로운 봄’ 서문에 “조선의 고위 관리인 홍종우가 이 이야기를 소개해줬고 우리는 그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썼다. 로니는 또 ‘금준미주천인혈(金樽美酒千人血)’로 시작되는 어사 이몽룡의 시를 ‘전원시’로 규정하며 “이 이야기 속에서 변사또를 비롯한 악인들이 아무도 죽지 않는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김 씨는 “포킨은 서양의 비극에는 주인공들이 죽는 경우가 많은데 ‘춘향전’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낯설게 여긴 것 같다. 그래서 ‘사랑의 시련’을 원숭이 춤이 등장하는 등 밝고 익살스러운 발레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