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죽음으로서 자유를 쟁취했다 안락사에의 유혹

독일의 최근사건과 미국의 안락사 법안

▶ 독일, 의사가 알려준 제조법으로…" 노인자살
▶미국, ‘안락사법’ 발의안 상정 확실시
▶ 지난달 28일 독일 중부 소도시 뷔르츠부르크에서 베티나 샤르트(79)라는 독신 여성이 자신의 아파트에서 인체에 치명적인 성분이 담긴 음료를 마신 후 수분만에 사망했다.
비디오를 통해 공개된 그녀의 자살 사유는 “요양원으로 이송되는 게 죽기보다 싫다”는 것. 가족이나 친지가 없는 노인이 거동이 불편해지면 요양원으로 보내지도록 규정된 독일의 복지 시스템이 끔찍했던 것이다.

신문 가십 거리에 불과할 수 있는 이 여성의 자살이 요즘 독일에서 앙겔 메르켈 총리까지 가세하는 안락사 논쟁으로 비화하고 있다고 독일 주간지 슈피겔 등이 보도했다. 이 여성이 자살에 이르는 과정에서 로저 쿠쉬(51) 박사라는 안락사 옹호론자가 개입돼 있기 때문이다.

내과 전문의인 쿠쉬 박사는 샤르트의 의뢰를 받고 말라리아 치료 성분인 클로로퀸을 배합해 인체에 치명적인 음료를 만드는 방법을 조언했다. 그렇지만 음료를 직접 만들지는 않았기 때문에 독일의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독일의 연방법에 따르면 안락사를 주도하는 것은 위법이지만 소극적으로 자살을 돕는 것은 문제 되지 않는다.

쿠쉬 박사가 1일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의 연방법 테두리에서도 안락사가 가능하다는 게 증명됐다”며 죽음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여론이 들끓기 시작했다. 기자회견장에서는 샤르트가 자살 직전 촬영한 비디오에서 만면에 미소를 띠고 “죽음으로써 마지막 목표인 자유를 성취했다”고 말하는 장면도 방영됐다. 법을 어기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샤르트가 자살에 이르는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한 것이다.

독일인들은 이 사건을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일간지 빌트는 사설에서 쿠쉬 박사를 ‘130여명을 안락사시킨 미국인 의사 잭 케보키언의 독일판’이라고 비난했고, 외르그 호페 독일의사협회장은 “구역질 나고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자살을 돕는 행위를 불법화해야 한다”고 언급하는 등 관련 법 개정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 일간 인터내셔널 해럴드 트리뷴(IHT)는 “2차 대전 당시 나치가 유대인 수백만명을 죽음으로 내몬 이후 독일 사회에서 안락사 논의 자체가 드물었다”며 “안락사 논쟁이 독일에서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