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소망을 주는 별, 갑자기 세상을 뜨다

 
60년 가까이 대형 강철 폐에 의지해 살아오면서도 꿈과 희망을 잃지 않았던 미국 여성 다이앤 오델(61)이 세상을 떠났다고 AP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오델은 세 살 때인 1951년 소아마비에 걸려 폐의 일부까지 마비됐다. 이 때문에 평생 무게 340㎏, 길이 2m의 원통형 강철 폐 안에 누워서 지내왔다. 원통 밖으로 나와 있는 신체 부위는 목과 얼굴이 전부였다. 원통 상단에 거울을 붙여놓고 가족 등과 대화를 나눴다.

그는 미국 사회에서 불굴의 상징으로 통했다. 홈스쿨링 등으로 고교 졸업장을 받았고, 대학 과목 일부를 배웠다. 98년에는 음성인식기능을 갖춘 컴퓨터를 이용해 "소망을 주는 별(wishing star)"이란 어린이용 동화책을 쓰기도 했다. 오델은 생전에 “사랑과 믿음으로 가득한 행복한 인생을 살고 있다”며 늘 웃는 모습이었다. 또 “(원통 속에) 항상 누워있지만 욕창으로 고생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보기보다 편안하다”고 되레 주변 사람들을 위로하곤 했다.

2007년 2월 그의 60번째 생일잔치에는 200여 명의 가족과 친구가 모였다. 또 수백 장의 생일 축하 편지가 미 전역에서 쇄도했다. 그녀를 후원하기 위한 단체들도 잇따라 생겨났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정전은 어렵사리 지탱해오던 그의 생명을 앗아갔다. 28일 그의 집이 있는 미국 테네시주 잭슨에 닥쳐온 폭풍으로 이 일대에 정전이 발생했다. 그를 지탱해 오던 강철 폐가 정전으로 인해 갑자기 멈춰 섰다. 비상용 발전기가 있었지만 그의 생명을 붙잡지는 못했다. 뒤늦게 도착한 구급대원들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의 가족들은 “몇 달 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정전을 견딜 만한 체력이 남아 있지 않았던 것 같다”며 슬퍼했다. 오델의 병간호를 도왔던 프랭크 맥민 웨스트 테네시 헬스케어협회 회장은 “그는 내가 평생 만나본 사람 중 가장 친절하고 사려 깊은 사람이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
▶오델이 생명을 기대온 대형 강철 폐는 20년대 말부터 널리 사용되던 것이다. 소아마비로 손상된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원통 안에서 압력을 발생시킨다. 50년대부터 개량됐지만, 오델은 척추까지 심하게 손상돼 구형 강철 폐를 그대로 사용해 왔다. 그는 구형 강철 폐를 가장 오랫동안 사용한 사람이기도 하다. 지금도 75~100명 정도가 그녀와 같은 구형 강철 폐를 사용하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