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中지방정부 유명제사 유치 경쟁

 
- 6만 위안을 호가하는 육각정자 묘지. 최고 34만 위안에 달하는 묘지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성묘객들의 눈총을 받고 있다.
●“공자님 제사는 우리 지방에서”
●“청명절 맞아 관광상품화
●“묘지가 집보다 비싸”비난
●“유명 조상님 제사는 우리 것”
●중국에서 올해부터 청명절(淸明節)이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조상의 은덕을 기리는 제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청명절은 잊혀져 가는 중국 전통 문화를 되찾자는 취지에서 부활됐지만 중국 지방정부들이 유명 조상에 대한 제사를 관광 상품 또는 자금 마련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본래의 취지가 변색되고 있다고 한다.

공자(孔子), 주공(周公) 같은 역사적 인물 외에 염제(炎帝), 여와(女蝸) 등 전설 속 인물 등은 인기(?) 제사 대상이다. 허난(河南) 저우커우(周口), 간쑤(甘肅) 톈수이(天水) 등지에서는 복희(伏犧)의 제사가 행해지고 후베이(湖北) 주산(竹山), 허베이(河北) 한단, 간쑤 톈수이, 산시(山西) 완룽(萬榮) 등지에서는 여와의 제사를 지내는 등 전국 각지에서 같은 인물에 대한 제사가 중복되고 있다. 더욱이 이들은 경쟁적으로 호화 제사를 지내면서 주민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첫 해에는 제사로 끝나지만 다음해에는 사당을 짓고 그 다음해에는 관련 축제를 하며 점차 제사 사업이 확장되면서 수천만 위안의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제사를 해외 화교들로부터 자금 협찬을 받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또 이번 청명절에는 집값보다 비싼 묘지가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장쑤(江蘇)성 쑤저우(蘇州)시 타이후(太湖) 인근 시둥팅산(西洞庭山)에 자리잡은 공원묘지인 "밍류링위안(名流陵園)"에는 4억5000만원짜리 호화 묘지가 있다. 이 공원 묘지는 삼면이 물이고 산을 배후로 하고 있는 배산임수의 최고의 명당 자리인데, 40여평의 부지에 묘지 크기만 10평에 달하고 3층 돌계단에 각종 석상과 조각물을 설치해 무려 4억50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갔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1인당 분묘 크기를 규제하고 있지만 이같은 호화 묘지가 갈수록 성행하고 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