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정부,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과 국제 보건 협력 강화 MOU

빌 게이츠 방한, 세계 보건분야서 주도적 역할 모색

정부가 16일 빌 게이츠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이하 게이츠 재단) 공동의장 방한을 계기로 게이츠 재단과 보건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양해각서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 이기일 복지부 제2차관, 빌 게이츠 공동 이사장이 서명했다.

 

 

게이츠 재단은 '감염병혁신연합'(CEPI)과 '글로벌펀드' 등 글로벌 보건기구의 가장 큰 민간 공여기관이다. 복지부와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RIGHT Fund)의 공동 자금을 출연하고, SK바이오사이언스사(社)의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지원하는 등 한국 측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정부와 게이츠 재단은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 등 민간·공공 파트너십을 통해 국제보건 분야에서 한국과 게이츠 재단의 주도적 역할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국제 사회 코로나19 대응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 보건기구들과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에서 다자보건협력의 중요성을 부각하기로 했다.

 

아울러 세계보건기구(WHO)가 한국을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 허브'로 지정한 것과 연계해 중저소득 국가의 바이오 인력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이외에 세계 건강 불평등 해소, 바이오헬스 연구 발전 등을 위해 백신과 진단기기, 치료제 등 감염병 관련 기술을 공동 연구 개발하고 지식·인적 교류도 늘린다.

 

정부는 "이번 양해각서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례 회의 개최 방안도 논의했다"며 "앞으로 정부와 한국 기업, 게이츠 재단의 협력 기회를 늘리고 국제보건협력에서 한국의 기여도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제공 :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