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2 (화)

  • 맑음동두천 2.5℃
  • 흐림강릉 5.7℃
  • 서울 5.1℃
  • 대전 10.1℃
  • 대구 12.3℃
  • 울산 12.8℃
  • 구름많음광주 13.1℃
  • 흐림부산 13.6℃
  • 구름많음고창 12.3℃
  • 흐림제주 15.0℃
  • 맑음강화 2.6℃
  • 맑음보은 10.7℃
  • 맑음금산 10.6℃
  • 구름많음강진군 13.4℃
  • 맑음경주시 12.1℃
  • 구름많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결혼식과 장례식 모두 가능한 시설 트렌드

<세계는지금>일본대형상조그룹 베르코, '마음과 음식을 통해 만남을 더욱 뜻깊게' 컨셉

일본의 최대 상조그룹인 베르코가  '웨딩'과 '장례' 모두 가능한 시설 오픈,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7월에 베르코 그룹 최초가 되는 「관혼」과「신규장제」의 양쪽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창안 이야기 시온」에 기타큐슈시 하치망토구(北九州市)시 하치망)에 소재하고 있다.

 

 '창안이야기지음'('創案物語 SHION志音')은 지상 3층 규모로 7개의 리셉션 홀을 갖추고 병설 채플(생미셸 교회)에서 결혼 피로연, 소규모 식사 모임과 회의, 각 종파 대응 법요(가족장 포함)도 치를 수 있는 8개의 방을 갖추고 있다. 또 방마다 식물의 이름을 사용하여 네이밍에 맞게 코디했다.

 

'창안이야기 시온'에서는 신종 코로나 감염증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여 모두 완전 개인실 전세 스타일로, 한편으로는 '음식'을 고집한 운영을 하는 회관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창안 이야기 시온의 콘셉은 '관혼'과 '장제'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시설이다

베르코는 창업 이래, 베르코 그룹 일체로서 지역 주민들에게 밀착할 수 있도록 전국 각지에 장의등을 중심으로 한 다목적 회관 445개소(직영 222개소), 예식장 37개소(전부 직영)를 신설·운영해 왔다.

 

그러나, 사람들의 관혼상제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나 관습의 재검토와 함께, 요즈음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도 있어, 관혼상제가 소인원화·다양화되고 있는 현상을 근거로 했다.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생각을 「관혼」과 「장제」에 구애받지 않고도 구현화할 수 있는 시설, 안전·안심 시설인 것을 바탕으로, 「관혼」과 「장제」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시설인 것을 중시한 바 있다. 

 

 

'창안이야기지음'에서 관혼상제라는 의식에 모여 주시는 '마음(테마)'뿐만 아니라, 거기서 제공되는 '음식'에 더욱 신경을 써서 '음식'을 통한 보다 나은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시설로 만들고 싶다. 

·'창안이야기'에는, 음식을 통해, 사람들의 만남과 추억을 이 장소에서 하나부터 만들어 나가자는 바람을 담고 있다.

 

 「지음」에는, 뜻을 가지고 모이는 사람들을 「음식」과「소리」로 「대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컨셉이다. 

 

'창안이야기 시온'에서는 신종 코로나 감염증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여 모두 완전 개인실 전세 스타일로, 한편으로는 '음식'을 고집한 운영을 하는 회관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

 

[출처 : 베르코 

 

 



배너

포토뉴스


무연고 사망자의 유품정리 처리 특례를 마련하라 -김두년 박사
우리나라는 최근 들어서 고독사와 무연고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는 3,778명, 무연고 사망자는 3,795명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첫째, 노령인구 1천만명 시대를 맞이하여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고, 전체 가구수의 34.5%가 1인가구로서 대가족시대가 막을 내리고 핵가족시대로 변화한 사회변동에 근본원인이 있다. 무연고 사망자의 대부분이 1인가구인데, 배우자나 형제자매 등 가족이 아예 없거나, 가족이 있더라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시신인수를 포기하면서 무연고사망자가 되는 경우이다. 정부에서도 2023년 3월 28일자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무연고 사망자가 사망하기 전에 본인이 서명한 문서 또는 「민법」의 유언에 관한 규정에 따른 유언의 방식으로 지정한 사람이 희망하는 경우에는 장례의식을 주관하게 할 수 있다”라는 규정을 신설하여 무연고자의 장례비용 문제를 해결하였다. 다소 늦었지만 바람직한 입법으로 평가한다. 문제는 무연고 사망자의 경우 장례식을 마치고 나서 사망현장에 남아있는 유품을 처리할 주체가 없다는 것이다. 무연고 사망자의 경우 대부분이 고독사와 중복되는데 고독사 발견 후 관계기관에 신고를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