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조업 광고, 양면적 반응

보험과 대부광고에 이어 고인의 장례를 대신 도와주는 상조회사 광고까지 TV에 등장했다. 현재 지상파 TV를 통해 방송되고 있는 상조회사 광고는 장례 시 리무진과 고급수의 대여, 도우미 파견 등 장례식 절차 전반에 걸쳐 도움을 준다는 내용이다.

TV와 신문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전파를 타고 있는 상조회사 광고는 한창 이슈가 되었던 대부업계의 그것과 거의 비슷한 컨셉이다. 감정에 호소하는 듯한 잔잔한 음악이 깔리고 대중들에게 익숙한 얼굴의 인물들이 나온다. 그들은 호소력 짙은 목소리로 각종 혜택을 반복적으로 소개하며 광고 마지막에는 상담 전화번호를 리듬감 있게 말하는 것도 빼먹지 않는다.

현재 광고를 방송에 내보내고 있는 업체는 크게 ‘ㅎ상조’ 와 ‘ㅂ상조’ 두 곳. 두 업체 모두 믿음직하고 바른 인상의 연예인들을 앞세워 TV, 신문지면 등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질병에 걸렸을 때 치료비를 보조해준다는 보험,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금전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대부광고에 이어 이제는 죽음자체를 상품화, 대상화시킨 광고까지 등장한 것이다.

이처럼 최근 등장한 상조회사의 TV광고에 대해 사람들은 대부분 ‘이제는 죽음까지 너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한다. 한때 무차별적으로 넘쳐나던 대부광고와 보험 광고 등을 통해 늘어났던 소비자들의 불안심리를 또다시 조장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키우고 있는 한 주부는 “요새 아이들이 동요는 몰라도 대부업체 광고 로고송은 아무 생각 없이 외우고 다닌다”며 “아이들이 사채가 뭐냐고 묻는 것처럼 벌써부터 장례식에 관심 가질까봐 무섭다”며 눈살을 찌푸렸다. 이제 막 사회인이 된 직장인 정우현(27세)씨도 “젊은 사람이 보기엔 마치 죽음을 장려하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반면 긍정적인 시각도 있다. 잠원동에 사는 조미숙(53세)씨는 “상을 한번 치러본 사람은 얼마나 손이 많이 가는 일인지 안다. 나이 든 입장에서 보니 자식들 고생하는 것 보다 차라리 하나 가입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고 대학생 김모(25세, 건국대)씨도 “국민을 죄다 신용불량자로 몰아넣는 허위 대부광고 보다는 낫지 않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프리존뉴스] 제공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