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아이들은 이야기밥을 먹는다. -박석희

어린이문학 평론가 이재복 선생님의 책 제목 중에 <아이들은 이야기밥을 먹는다>가 있다. 나는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나는 유소년기를 직계 조상들의 이야기와 사기열전, 삼국지연의, 한국사 인물들의 이야기를 보고 들으며 자랐다. 그래서 난 지금도 동양의 고전이나 사자성어에 밝고 한자를 읽는 데 별로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이것은 우리말을 읽고 이해하며 윗 세대의 정신과 경험을 읽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

.
지역문화의 한계를 넘어선 세계사나 그리스·로마·북유럽의 신화나 위인전, 쥘 베른, 로버트 스티븐슨, 마크 트웨인의 모험 소설이 될 수도 있다. 헐리우드와 충무로의 영화,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재패니메이션, 디즈니와 드림웍스 또한 나를 길러낸 이야기밥이다. 그것들은 나에게 역할 모델과 인간의 감정을 고조시키는 스토리라인 스킬, 어떻게 살아야 멋진 것인지에 대한 생활미학과 철학을 제공했다. 내 정신은 그것들을 이야기밥들로 해서 자랐다. 여학생들에게 유독 인기가 많아 부러웠던 경인교대 젠틀맨 김항인 교수님의 말처럼, 나는 아이들이 도덕적 실천이 필요한 상황을 상상하여 도덕감정을 함양하는 데 도덕 이야기처럼 적합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도덕 수업을 반드시 토론으로 수업해야 하고, 그것이 교과의 벽을 넘어서서 지적인 능력을 한 점으로 집중하여 동시적으로 통합하는 통합교과의 교육적 순간이라 생각하지만, 결국 그 토론의 무대도 이야기가 없이는 만들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결국 나는, 인간은 이야기를 먹고 자란다는 전통 교육의 명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들과 투닥거리다 끝내 조선왕조의 야사野史 에피소드들로 끌어들여 유교 경전의 정신과 덕목을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맹꽁이 서당 훈장님이 그러했듯이, 시나고그의 랍비가 토라와 탈무드를 읽으며 유태인 아이들을 가르치듯이, 기독교 교회에서 아동의 교육을 담당했을 시절 복음서와 구약의 설화들로 아이들을 길러냈듯이 말이다. 당연히 이야기의 완성도와 크게 상관 없는, 사실성이나 허구성의 여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이거 실화냐”는 질문은 접어두고 ‘어떤 이야기인가’를 생각해보자.

나는 국어, 영어, 사회, 도덕은 일정 부분은 스토리텔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야기는 루카치가 말한 의미와 같이 총체적이다. 이야기의 무대 안에는 세계의 모든 것이 끌려나온다. 아이들은 그 속으로 들어와 공감하고 체험한다. 이야기의 무대를 헤쳐나오며 아이들은 배운다. 고대 그리스의 비극 무대나 교과서의 발췌문이나 정치적 선동의 목적을 지닌 교사의 수업이나 유튜브 동영상이나 본질은 다르지 않다. 요컨대 아이들이 어떤 이야기를 선택하느냐, 우리 스스로 어떤 스토리로 자신의 운명을 나아가게 하려 결단하느냐로 교육은 이루어진다. 교육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훈련받은 이들의 스토리텔링은 지금도 여기저기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어떤 이야기들이 지금의 당신을 길러냈는가. 어떤 의도와 정신, 내용을 지닌 이야기로 밥을 지어 아이들을 먹여야 하겠는가. [출처 : 제3의길]


이야기의 무대에는 세계의 모든 것이 끌려나온다. 아이들은 그 속에 들어와 공감하고 체험한다.



배너

포토뉴스


태교만큼 중요한 죽음준비 -김영심 웰다잉전문강사 임신 10달동안 태명에서부터 음식, 음악, 독서, 태담, 동화, 영어와 수학으로 학습태교까지 하고 있다. 태어날 아기를 위해 정성스럽게 최선을 다해 태아교육을 하고 있다. 탄생만큼 중요한 죽음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보건소나 노인대학 강의시 죽음준비를 하고 계신가요?라고 물으면 “나는 죽음준비 다 해놓았어요.”라고 대답을 하시는 분이 계신다. 어떻게 하셨느냐?고 물으니 윤달이 있어서 수의를 해 놓았고 영정사진도 찍었다고 하신다. 결국 수의와 영정사진만이 죽음준비를 대신하고 있다. 죽음준비 강의 후에 ‘내가 죽는다는 것은 생각을 안 해봤는데 죽는다고 생각하니 서글프다’ ‘죽음에 대해 막연히 두려웠는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오히려 편안해지네요.’ ‘사는동안 잘살고 죽음도 잘 받아 들여야겠어요.’ ‘확 깨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집에 가서 자식들하고 나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겠네요’ ‘이런 강의 처음 들었어요’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준비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어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하고 있다. 처음에는 학장님이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죽음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라며 못을 박으며 ‘신나고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