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지구촌장례문화

저주받은 유령기차

 
"유령기차"는 "고골의 저주"?

‘저주받은 유령기차’가 네티즌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는 8일 러시아 모스크바와 우크라이나 등에서 목격된 ‘유령기차’에 대해 방송했다.

방송에 따르면 이 기차는 지난 1911년 이탈리아를 출발한 관광열차로 러시아 모스크바를 향해 가던 중 승객 104명과 함께 갑자기 사라졌다.

당시 106명의 승객이 타고 있던 이 기차는 갑자기 원인모를 고장으로 멈춰서 승객들이 매우 당황했다. 기차가 멈춰선 뒤 갑자기 차창 밖에 피투성이의 남자가 나타났다는 것. 이 과정에서 명의 승객이 도망쳤는데 그 두 명이 정신을 차리고 보니 갑자기 기차가 사라져 버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기차가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일대에 계속 출몰한다는 점이다.

지난 1995년 우크라이나 키에브에서 안톤 준위라는 군인이 기차를 놓친 뒤 밤을 지낼 곳이 없어 기차를 발견했는데 기차의 손잡이를 잡는 순간 갑자기 강한 전기충격으로 쓰러졌다. 그러나 안톤 준위가 정신을 차린 뒤 바라보자 기차가 이미 사라져버리고 없었다.또한 2001년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선로역장에 정체모를 기차에 치어 숨졌다.

이 두 기차의 공통점은 ‘나는 이탈리안’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는 것.

결국 러시아 과학원과 KGB가 조사에 나섰고,이 기차는 이탈리아 철도회사 소속 관광열차로 지난 1911년 사라졌던 유령기차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러시아 신문이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이 유령기차에는 러시아 대문호인 니콜라이 고골의 유골이 타고 있었다고 한다.

고골은 1852년 갑자기 사망한 뒤 매장됐으나 바크흐투신이란 유품수집가가 그의 시신중 두개골을 도굴 했다고 한다.

러시아의 한 해군장교가 결국 고골의 해골을 찾아 당시 이탈리아에서 모스크바행 기차를 탄 보르게세라는 장교에게 모스크바로 가져갈 것을 부탁했다.

당시 기차가 갑작스런 고장으로 멈추자 함께 탔던 보르게세 동생이 승객들을 놀래키기 위해 고골의 유골을 장난을 친 뒤 갑자기 정체불명의 피투성이 남자가 나타났다. 보르게세 형제는 열차에서 도망쳤지만 기차는 승객들과 함께 사라졌다는 것이다.

결국 아직까지도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 유령기차는 잃어버린 몸을 찾기 위한 고골의 저주가 아닌가라고 방송은 전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