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산은 슬퍼하고 골짝의 메아리는 그치지 않아'

무산스님 영결식, 원로회의장으로. 고성 건봉사서 다비식

.

입적한 설악당 무산스님 영결식이 강원 속초시 신흥사에서 엄수됐다. 30일 오전 설악산 신흥사에서 원로회의장으로 치른 무산스님 영결식에는 종정 진제스님과 총무원장 설정스님 등 종단 스님과 불자, 각계각층 인사가 참석해 스님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영결식은 정휴스님 행장 소개와 육성 법문, 원로의장 세민스님 영결사, 진제스님 법어, 설정스님 추도사, 조사와 조시, 헌화, 문도대표인 건봉사 주지 마근스님 인사말 순으로 이어졌다. 법어를 설한 진제스님은 “설악의 주인이 적멸에 드니 산은 슬퍼하고 골짝의 메아리는 그치지 않는다”며 “무산 대종사께서 남기신 팔십칠의 성상은 선(禪)과 교(敎)의 구분이 없고, 세간과 출세간에 걸림이 없던 이 시대의 선지식의 발자취였다”고 회고했다. 평생 도반(도를 닦는 벗)으로 함께한 화암사 회주 정휴스님은 행장을 소개하며 “(무산)스님은 그 공덕을 한 번도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수행자의 하심(下心)을 보여주셨다”며 “무산당, 편히 쉬시게”라는 말로 무산스님을 떠나보냈다.

.


.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세민스님은 영결사에서 “지난밤 설악산이 소리 없이 우는 것을 들었다”며 “이처럼 삼라만상이 무릎을 꿇고 슬퍼하는 것은 이 산중의 주인을 잃었기 때문”이라며 애도했다. 총무원장 설정스님은 추도사를 통해 “‘나에게 돌을 던지는 사람과 나에게 꽃을 던지는 사람을 함께 소중하게 여기라’고 하신 스님의 말씀을 따라 의연하고 힘차게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영결식을 마치면 무산스님의 법구는 우리나라 최북단 사찰인 고성 금강산 건봉사로 이동해 다비식을 치를 예정이다. 무산스님은 불교계에서 ‘설악산 호랑이’ ‘강원도의 맹주’로 불리는 등 깨달음이 깊은 선지식인으로 존경받고 있다.  속명인 오현스님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스님은 1932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1939년 성준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1959년 직지사에서 성준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1968년 범어사에서 석암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이후 불교신문 주필과 조계종 중앙종회의원, 신흥사 주지를 역임했으며 종단 최고법계인 대종사 법계를 품수했다. 1998년 무금선원을 개원한데 이어 조계종 원로의원과 신흥사 조실, 백담사 조실, 조계종립 기본선원 조실로 후학을 지도해왔다.


무산스님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시조 시인으로도 유명하다. 1968년 등단해 시조집 ‘심우도’ ‘아득한 성자’ 등을 펴낸 스님은 가람시조문학상, 정지용문학상, 현대시조문학상, 고산문학대상 등을 받았다. 스님은 만해 한용운의 사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만해사상실천선양회를 설립하고 만해대상, 만해축전을 개최하는 등 포교 분야에서도 큰 업적을 쌓아 조계종 포교대상 등을 받았다.

.


.


.

.


.


.[사진 출처 : 얀합뉴스]


관련기사 ---> 무산 스님 영결식 및 다비식 준비를 마친 신흥사 영결식장 모습(30일 오전 7시 현재)

.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