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죽은 아내를 위해” ‘현대판 타지마할’ 건축

인도 북부 갠지스 강 연안에 있는 가난한 농촌에서 이슬람교도 남성(79)이 ‘현대판 타지마할’을 짓고 있다. 죽은 아내가 외롭지 않도록 자산을 털은 지 약 4년. 17세기 무굴 제국의 황제가 죽은 왕비에게 바친 영묘를 모방해 직접 만든 무덤은 현지의 새로운 명소로 떠올랐다. “당신이 죽으면 많은 사람이 기도할 수 있는 무덤을 만들겠다”. 2011년 가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 주 카세르칼란(Kaser Kalan)에 있는 집에서 파이즐 쿼드리(Faizul Quadri) 씨가 암으로 투병 중인 아내 타자물리(Tajammuli) 씨에게 농담처럼 말했다. “그런 말 하지마”. 아내는 작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그리고 아내는 그 해에 75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10대였던 두 사람이 맺어진 것은 1953년. 부모의 결정이었던 탓에 “결혼의 의미도 알지 못했다”(쿼드리 씨). 경비원과 사무원으로 일하며 생활했다. 병으로 아이를 낳지 못하게 된 타자물리 씨를 위로하고자 흑백 TV를 구입해 인도 영화를 봤다. 아내가 사망한 후 슬픔에 빠져 있던 쿼드리 씨가 떠올린 것은 같은 주 아그라에 있는 세계유산 타지마할이었다. 반년 후, 인부 17명을 고용해 집 뒷마당에 있는 해바라기밭에서 높이 약 10m 크기의 첨탑 4개를 가진 복제 건물을 짓기 시작했다. 연금을 털어 넣고, 땅과 귀금속을 팔아 돈 100만 루피(약 1,700만 원) 이상을 투입했다. 인구 1,500명 정도의 작은 마을에서 ‘이상한 사람’이라고 놀림도 받았다. 하지만 건설이 60% 정도 진행된 지난해 여름, 타지마할을 건설한 ‘현대의 샤 자한 황제’라고 현지 신문에 소개되면서 관광객이 이곳을 찾기 시작했다. 마을에서 그를 비웃는 사람은 이제 없다.  “살아있는 동안은 계속 짓고 싶다”. 지하에 타자물리 씨를 묻고, 옆에는 장차 자신이 아내 옆에 나란히 누울 수 있도록 안치 장소를 마련해 뒀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