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서울시, 착한 장례서비스 시행 10개월의 성과 발표

반값장례 실현을 위한 전용장례식장 건립도 적극 검토

장례비용의 거품을 빼기 위해 서울시가 내놓은 '착한 장례서비스'가 시행 10개월 만에 이용건수가 371건에 달하는 등 안착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시민의 호응에 부응해 반값장례식 전용 장례식장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5월1일 선보인 '착한장례서비스'가 지난달 29일 현재까지 총 371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
착한 장례서비스는 서울시설공단이 운영하는 추모시설(서울추모공원·서울시립승화원)과 서울의료원 장례식장을 연계해 시민들이 기존 장례식장 비용의 절반 정도에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 장례비용이 1200만원대인데 비해 착한 장례서비스 이용료는 약 600만원에 불과해 시민들의 서비스 이용률이 높다.  실제 서울의료원 장례서비스 이용고객 1326명 중 약 28%가 착한 장례서비스를 이용했다. 월별 착한장례서비스 이용 건수는 5월 53건, 6월 28건, 7월 26건, 8월 39건, 9월 46건, 10월 31건, 11월 36건, 12월 39건, 올해 1월 41건 2월 32건 등이었다. 서울의료원 이용자 가운데 상조회사의 서비스를 받지 않는 유족들의 상당수가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이 장례서비스를 운영하는 병원이 서울의료원 단 1곳에 불과해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가 운영하는 착한 장례서비스 전용 장례식장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시설공단 관계자는 "현재 서울의료원 1곳에서만 착한장례 서비스를 운영함에 따라 많은 시민이 이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면서 "서비스를 다른 병원의 장례식장으로 확대하고 싶지만 우리가 공개한 가격 가지고는 쉽지가 않다. 서울시 전용 착한 장례서비스 전용 장례식장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착한 장례서비스는 서울시민이면 누구나 전화(02-2276-7671~2)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립 용미리묘지(경기도 파주 소재) 자연장도 선택 가능하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