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진도군 "씻김굿, 다시래기 등 상·장례 문화 복원"

전남 진도군이 씻김굿과 다시래기 등 전통의 상·장례문화 복원에 나선다. 진도군은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에서 공모한 2015년 창조지역사업에 '전통민속 상·장례문화 신 커뮤니티 만들기 사업'이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창조지역사업은 각 지역이 갖고 있는 자원을 특화 발전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지역위와 중앙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 해는 전국 지자체에서 신청한 136개 사업 중 전국 21개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전남지역에서는 영암과 곡성 등 3개 사업이 선정됐으며, 진도군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오는 2016년까지 3억6000만원의 국비를 지원받는다.


진도군은 지원받은 국비로 씻김굿 등 진도 전통의 상·장례문화를 복원하는 등 훼손된 지역문화를 되살리는 사업에 나설 방침이다. 지역내 242개 마을 상두계 정비를 통해 상·장례 기반을 마련하고 지산면 등 7개 읍면에서 연 12회에 걸쳐 씻김굿과 다시래기, 만가 등의 진도 상·장례를 연행할 예정이다. 특히 씻김굿 무구 만들기, 상여 메기, 유서쓰기, 입관 체험 등 진도 상·장례 주말 문화학교도 운영할 계획이다. 진도군 관계자는 "창조지역사업은 보배섬 진도군의 비교우위 자산을 활용한 사업들로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은 물론 삶터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진도군은 진도개 등 국가지정 유형문화재 11종, 전남도지정 17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진도 씻김굿 등 10종의 무형문화재와 18명의 예능보유자가 지정돼 있는 등 대한민국 군 단위 중 가장 많은 무형문화재가 있다.



씻김 굿    민간신앙의 하나. 전라남도 지방에서 행해지는 사자의례(死者儀禮)의 한 형식으로, 원령(怨

                   靈)의 한을 풀어서 저승으로 천도(遷度)시키는 기능을 한다. 씻김은 사령(死靈)의 신체(身體)모형을 만들어 무녀가 씻기는 것으로, 죽은 사람의 옷 한 벌을 초석(草席)에 늘어놓아 함께 묶은 것을 사체(死體)라고 상정(想定)하고, 이를 문지방 밖에 내놓고 무녀가 왼발꿈치로 밟고 서서, 다시는 집에 들어오지 말라는 내용의 축원을 한다. 그런 후 망인(亡人)을 뜰 안으로 내다 세우고, 그 위에 망인의 밥그릇에 쌀과 넋(魂)을 넣은 식기(食器)를 얹어 죽은 사람의 머리는 상정하게 한다. 그리고 그 위에 쇠솥뚜껑을 또 덮고 무녀가 빗자루 끝으로 청수(淸水)ㆍ쑥물ㆍ향(香)물의 차례로 신체를 씻긴다.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굿으로, 경기도 지방의 <자리걷이>, <지노귀굿>, <천금새남>, 서울의 <길가름>이 이와 같은 성격을 띤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