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장례식장 부가세 환급 지연, 행정소송법 저촉

대한병원협회는 23일 장례식장 음식 부가가치세 환급 적용 시기를 뒤로 미룬 기재부 예규는 적법하지 않다고 밝혔다. 대법원은 지난 6월 장례식장 음식은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이라고 판결, 장례식장을 직접 운영하는 의료기관들은 납부한 3년 이내의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바 있다. 이에 해당병원들은 환급청구를 신청했으나 기재부 예규로 부가가치세 면세 적용 시점을 올해 10월로 정해, 해당병원들의 청구가 수용되지 못했었다.

 

그러나 병원협회 법률 자문 결과에 따르면 대법원 확정판결 효력은 동일한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제3자에 대한 행정처분에 대해서도 그 효력이 미친다는 지적이다. 이는 행정소송법 제29조 제1항 및 제30조 제1항에 따른 것으로 원고가 아닌 제3자에 대해서도 납부한 부가세 상당액은 과세관청이 환급결정을 해야 한다는 것. 이와 함께 기재부 예규 타당성에 대해서도 법적 저촉이 있다고 지적했다. 취소소송의 제3자에 대한 효력은 대법원 판례의 변경이 없는 한 향후의 모든 판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시행 시기를 임의로 정한 예규는 행정소송법 제29조 제2항 및 제30조 제1항에 저촉된다고 밝혔다.

 

대법 판결이 제3자의 행정처분에도 동일하게 효력이 미치는 점과 기재부 예규는 대법 판례가 향후 모든 판결에 기속되는 점 등을 근거로 지난 2010년부터 제공된 음식 용역 부분에 대해 환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후 환급청구를 수용하지 않을 시에도 사법적 판단을 받을 수 있다고 고지했다. 먼저 행정관청이 환급청구를 거부하는 경우 국세기본법 제61조에 따라 심사 또는 심판청구(불복절차)를 할 수 있다. 불복절차기한은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이다. 그 다음으로 심사 또는 심판청구결과 불복시 행정소송으로 사법적 판단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법원은 지난 6월 병원 장례식장 문상객들에게 제공한 음식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했다. 이로써 장의용역 공급업자들은 3년 동안의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을 수 있게 됐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