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행사 이벤트

7000년전 유럽最古도시, 불가리아서 발견

유렵대륙 전체에서 가장 오래된 7,000년전 고대 도시가 불가리아에서 발견됐다는 해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영국의 BBC 방송은 현지시각으로 31일 불가리아 프로바디아 인근에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선사 도시가 발견됐다고 전했다. 그리스보다 무려 1,500년 앞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이 선사 도시유적에서는 기원전 4,700~4,200년 사이에 350여명의 주민이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결과 거대한 바위로 만든 성벽에 둘러싸인 2층 건물과 공동묘지 등이 모습을 드러냈다. 학자들은 2층 건물을 당시 소금을 생산했던 곳으로 보고 있다. 이곳은 그 자체로도 유럽 대륙 最古의 도시유적이란 의미를 지니지만, 약 53km 거리에 있는 바르나 외곽 묘지에서 쏟아진 금제 유물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40년 전 발굴된 바르나 외곽 묘지 금제 유물들은 연대측정 결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확인됐다. 발굴된 유물의 수 역시 3,000여점이 넘어 발굴 당시 세계 고고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고학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제 유물이 이 지역에서 무더기로 나온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도시유적의 발견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첫 번째 열쇠가 될 수도 있다. 학자들이 도시유적 중 바위성벽으로 둘러싸인 2층 건물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당시 소금은 가장 중요한 교역품목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상품이었다. 즉, 발굴된 2층 건물이 소금을 생산하던 곳이 확실하다면 이 도시유적을 거점으로 소금교역이 이뤄졌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나아가 소금교역을 통해 얻은 엄청난 부는 바르나 외곽 묘지에서 왜 금제 유물이 무더기로 나오게 됐는지를 설명해 줄 수 있다. BBC는 이 선사 도시유적을 비롯 보스니아 투즐라, 루마니아 투르다의 소금광산들이 카르파티아 및 발칸산맥 인근에 별도의 문명이 존재했음을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