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불멸의 김정일, 시신보존법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그의 부친 김일성 주석 옆에 나란히 영구보존될 전망이다. 28일 영결식에서 김 위원장의 시신은 평양시내에서 주민들과 마지막 인사를 한 뒤 금수산 기념궁전으로 돌아와 아버지와 똑같은 방부처리 작업을 받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미 ‘레닌 묘 연구소 소속’의 블라디슬라프 카젤체프 교수가 이끄는 러시아의 시신보존 전문가팀은 25일 평양에 도착해 작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민영방송 NTV는 “모스크바 크렘린궁 앞 붉은 광장에 안치된 레닌 시신 보존을 책임지는 레닌 묘 연구소 소속 학자들이 이날 평양으로 출발했다”며 “러시아 혁명 지도자 블라디미르 레닌과 베트남 지도자 호찌민ㆍ중국 지도자 마오쩌둥ㆍ김일성 전 주석에 이어 ‘불멸의’ 국가 지도자가 한 명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카젤체프 교수는 북한으로 출발 전 NTV와 만나 “연구소의 (시신 보존) 기술은 상업 비밀에 속하며 우리만의 노하우”라며 말을 아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영구보존 처리는 뇌, 안구, 내장 등의 장기를 빼낸 시신을 발삼향의 방부액에 담가 액체를 인체에 삼투시킨 후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치는 등 총 8개월~1년 정도가 소요된다고 밝혔다.

지난 94년 김 주석의 방부처리 작업에 참여했던 파벨 포멘코 박사는 러시아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시신 방부처리에는 보통 3~6명이 참여한다. 시신이 장기간 썩지 않고 보존되려면 방부처리가 자주 반복돼야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팀은 김 주석의 방부처리가 끝난 뒤에도 여러 차례 북한을 방문해 같은 과정을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방부처리에는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간다.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김 주석의 영구보존 처리에는 100만 달러(약 11억 6000만원) 정도가 들어갔으며 이후 시신 관리에도 매년 80만 달러(약 9억 30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김 위원장의 시신은 김 주석과 같이 금수산 기념궁전 중앙방 가운데에 위치한 투명한 유리관 안에 안치될 것으로 보인다. 시신 주변으로는 김 위원장이 즐겨타던 벤츠 승용차와 전용 기차 객실을 포함해 유품들도 함께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 김 부자가 나란히 안치되면 3대 세습을 정당화하기 위한 명분도 한층 커질 전망이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