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2 (토)

  • 구름많음동두천 5.5℃
  • 구름조금강릉 9.5℃
  • 맑음서울 6.4℃
  • 구름조금대전 7.5℃
  • 맑음대구 8.6℃
  • 맑음울산 9.3℃
  • 흐림광주 6.2℃
  • 맑음부산 9.0℃
  • 흐림고창 6.9℃
  • 흐림제주 10.0℃
  • 구름조금강화 5.9℃
  • 흐림보은 4.8℃
  • 흐림금산 6.4℃
  • 흐림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포토

쿠키 몬스터를 빼닮은 광석 인기폭발

 

브라질의 한 암석 수집가가 쿠키 몬스터처럼 보이는 화산암에서 발생하는 석영의 일종인 마노를 발견했다.


브라질 남부의 보석 명소인 Soledade에서 발견된 이 마노는 푸른 눈을 가진 Sesame Street Muppet를 닮았는데  대자연은 인기 프로그램 '새샘 스트리트'의 팬임에 틀림없다고 이구동성. 

 

소유자 인 캘리포니아 광물 수집가  'Mike Bowers'가 페이스북에 올리자 호주, 이스라엘, 미국에서도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됐다. 화산암의 공동 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 규소의 결정형태인 석영의 모습이다. 

 

공동은 뜨거운 용암의 기포에 의해 형성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용암이 식으면서 이산화 규소가 주입된 물이 구멍을 통해 스며 든다. 물이 증발함에 따라 이산화 규소는 공동 벽에 남겨져 다채로운 결정층을 만든다. 색상은 이산화규소의 화학적 불순물과 결정의 간격으로 인해 발생한다.

 

[출처 :   ]



배너

포토뉴스


무연고 사망자의 유품정리 처리 특례를 마련하라 -김두년 박사
우리나라는 최근 들어서 고독사와 무연고사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는 3,778명, 무연고 사망자는 3,795명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은 첫째, 노령인구 1천만명 시대를 맞이하여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고, 전체 가구수의 34.5%가 1인가구로서 대가족시대가 막을 내리고 핵가족시대로 변화한 사회변동에 근본원인이 있다. 무연고 사망자의 대부분이 1인가구인데, 배우자나 형제자매 등 가족이 아예 없거나, 가족이 있더라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시신인수를 포기하면서 무연고사망자가 되는 경우이다. 정부에서도 2023년 3월 28일자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무연고 사망자가 사망하기 전에 본인이 서명한 문서 또는 「민법」의 유언에 관한 규정에 따른 유언의 방식으로 지정한 사람이 희망하는 경우에는 장례의식을 주관하게 할 수 있다”라는 규정을 신설하여 무연고자의 장례비용 문제를 해결하였다. 다소 늦었지만 바람직한 입법으로 평가한다. 문제는 무연고 사망자의 경우 장례식을 마치고 나서 사망현장에 남아있는 유품을 처리할 주체가 없다는 것이다. 무연고 사망자의 경우 대부분이 고독사와 중복되는데 고독사 발견 후 관계기관에 신고를

발행인 칼럼

더보기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