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기는 청년기에서 노년기로 넘어가는 중간시기로, 태어나서 청년기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습득된 삶의 연륜과 지혜가 무르익은 시기이며, 이후 노년기의 삶의 질이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중장년기에는 가정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안정적인 위치에 있기도 하지만, 불안정하고 어렵기도 하는 등 개인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크다. 또한 일반적으로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고, 가족 중심적·독립적 자립 의식이 강하며, 사회공헌에 참여 의사는 높으나 실제 참여율은 저조한 세대이다.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유자 및 전문 사무직에 종사하는 고학력 전문집단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일반적인 특성이 있어 이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요구되는 세대이기도 하다. 이러한 중장년기 세대에 대한 지원정책은 2010년을 기점으로 변화하였다. 2010년 이전에는 만 65세 이상 노인복지 중심의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였다면 이후에는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퇴직으로 인해 이들의 노후 준비, 사회활동이 저출산 고령사회 문제와 맞물려 검토되기 시작하면서 중장년 세대 일자리, 노후, 문화, 교육 등의 영역에서 구체적인 지원사업을 부처별 혹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추진하였다. 2016년 ‘저출산
좋은 기억과 감정들을 더 많이 경험하고 나누고 싶은 정재원 자원활동가 그 동안 나눔과나눔에 연재된 그림과 에세이를 누가 그리고 써 온 정재원 자원활동가는 매달 장례이야기 회의에 참여해 그림으로 나눔과나눔의 활동에 함께 해 주고 있다. 인상적이었던 몇 편의 그림들과 함께 정재원 자원활동가의 이야기를 들어 보자. ♣ 소개를 직접 해주실 수 있을까요? 재원님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19년도 7월부터 나눔과 나눔에서 에세이 및 그림을 연재하고 있는 정재원입니다. 현재는 대학교 5학기로 재학 중입니다. ♣ 매달 장례이야기 회의에 참여하셨고 그 회의를 바탕으로 그림을 그려주셨죠. 어떤 마음으로 함께 하고 있나요? 사실 장례이야기 회의에서만큼 타인에게서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시간은 없다고 생각해요. 회의 내에서 여러 이야기를 듣다 보면 공감과 더불어 새로운 감정과 생각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러한 감정과 생각은 제 작업을 이어나가게 해주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되돌아보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요. 그렇기에 회의할 때마다 어떤 내용이 오갈지 기대하는 마음으로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림을 받아볼 때마다 매번 그림의 질감이 달라져서 놀랐어요
지구촌 전역은 그만두고라도 지금우라나라는 사라질 줄 모르는 '코로나19'로 정부와 국민들이 고통속에 있다. 고대하던 백신을 맞으려고 이제 모두 줄을 서야하는 판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과는 많이 다른 의학적 진실을 과감하게 토로하는 전문가가 있다. 'UPI뉴스'지에 관련 인터뷰 기사가 나간지도 한달이 훨씬 지난 지금 전국에 알려질 대로 알려져 있다, 비록 때늦은 뉴스지만 본지가 그전문을 소개하는 이유는 위기를 맞아 응대하기전에 적과 나를 좀 더 많이 알고 현명하게 대처하자는 소신도 때로는 유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백신으로 코로나 예방 자체가 불가능 ▷거리두기·집합금지·확진자 숫자 아무 의미 없어 ▷지금의 방역 방식은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아 빠르면 다음달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어떤 이들은 오매불망 백신 접종을 기다리고, 어떤 이는 고개를 갸웃거리며 안전성을 의심한다. 정부 당국자나 대다수 언론도 백신 접종·물량·시기에만 관심을 두지, 백신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백신을 통한 '집단면역'이 하나의 믿음처럼 퍼져 있다. 백신을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으면 항체 형성자가 많아지
조만간 장례산업의 주요한 분야로 정착될고인의유품정리에 관한 보고서가 일본 관련 행정기관으로부터나왔다 우리에게도 참고가 될 것으로 보고 소개한다. 유품 정리 서비스 현황 조사 결과 보고서 첨부문서 ☞ (遺品整理のサービスをめぐる現状に関する調査結果報告書) 조사 목적 최근 각지에서 유품 정리를 전문 업체에 부탁한다는 얘기를 듣게 됐다. 그 서비스에 대해서는 소비자 트러블이나 폐기물에 관한 보도도 눈에 띈다. 그런 의미에서 소비자보호행정과 폐기물 행정에 관련된 것은 분명하지만, 서비스 실태에 관한 정보는 한정되어 있다. 그 현상에 대해 조사해 두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본건 조사는 이러한 과제 인식으로 착수한 것이다. 유품 정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정의가 제도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굳어지지 않은 단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실태를 안다고 해도 알아야 할 범위 자체를 특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조사 작업을 진행할 때에 한해서만 '상식적인 '유품 정리' 역할을 담당한 사람의 의뢰를 받아 그 역할의 전부 혹은 일부를 의뢰인을 대신하여 또는 의뢰인을 지원하여 실시하는 역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라고 정의하고 인식해 나가기로 했다. 그러한 서비스
▶2021년봄학기 자원봉사자교육 안내 ▶제92기 위기청소년상담 자원봉사자 심화교육 ▶제63기 호스피스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 ▶제44기 죽음준비교육 지도자과정 프로그램 ▶제10기 애도상담전문가 기본교육프로그램 . . . . .
최근 일본 장례업계는 행사 당 매출이 갈수록 줄어드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한 위기의식이 업계에 널리 확산돼 있다. 그럴수록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 마인드를 창출해 가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형세다. 일본장례업계 최근 비즈니스 키워드는 무엇일까?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지만 우리업계를 위해 다시한번 타산지석으로 삼아도 좋을 것이다. 일본에서의 사망자는 향후 20년 동안 약 20% 증가, 연간 사망자 수가 130만 명을 넘는 '고령 다사(多死) 사회'에 접어들고 있다. 현재 시장 규모는 2조엔에 육박하며 이는 애니메이션 산업이나 미용 관련 시장과 맞먹는다. 일본 후생 노동성의 추계에 의하면 2040년에는 연간 사망자수가 166만 명이 되어 현재의 136만 명에서 보면 약 20%나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장례시장의 성장률도 똑같이 20%정도 올라갈 것인가 하면 현실은 어려운것 같다. 최근 사망자의 증대에 수반해 전체의 시행수는 증대했지만 시장의 성장은 극히 완만하기 때문이다. 2017년에 '종합유니콤'이 전국 110사의 장례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2015년부터 16년에 걸, 매상고가 증가한 사업자의 비율보다 시행 건수가 증가한 사업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의장 부부가 죽기 전까지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했다. 우아한형제들은 김 의장 부부(김봉진, 설보미)가 재산 절반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더기빙플레지를 통해 공언했다고 18일 밝혔다. 김 의장 부부는 이날 기빙플레지로부터 서약자로 공식 인정받았다. 김 의장 부부의 기부금은 향후 교육 불평등 해소, 문화예술 지원, 자선단체 후원조직 구성 등에 쓰일 예정이다. "제가 꾸었던 꿈이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도전하는 수많은 창업자들의 꿈이 된다면 더없이 기쁠 것 같다" "저와 아내는 죽기 전까지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에 환원한다" "이 기부선언문은 우리의 자식들에게 주는 그 어떤 것들보다도 최고의 유산이 될 것임을 확신한다" "대한민국에서 아주 작은 섬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때는 손님들이 쓰던 식당 방에서 잠을 잘 정도로 넉넉하지 못했던 가정형편에, 어렵게 예술대학을 나온 제가 이만큼 이룬 것은 신의 축복과 운이 좋았다는 것으로 밖에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존 롤스의 말처럼 '최소 수혜자 최우선 배려의 원칙'에 따라 그 부를 나눌 때 그 가치는 더욱 빛난다" "교육 불평등에 관한 문제 해결, 문화 예술에 대한 지원, 자선단체들
백제시대 금동신발 2건이 삼국시대 신발 유물로는 처음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16일 밝혔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우리나라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유물로 모두 5세기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각각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신발은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라면서 "그간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금동신발은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적이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4기의 대형 분구묘(墳丘墓, 봉분과 같은 분구를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만드는
AIA생명은 지난 달 출시한 '무배당 AIA 초간편 암보험 (갱신형)'이 출시 한 달 만에 약 8000건 이상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무배당 AIA 초간편 암보험 (갱신형)은 한 가지 질문만으로 가입할 수 있는 암보험으로, 일반 상품 대비 질문 항목을 대폭 간소화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만성질환이 있거나 나이가 많아도 특정 질문만 통과하면 최대 80세까지 가입이 가능해, 기존 일반보험에 가입이 어려웠던 유병력자나 노년층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암뿐만 아니라 특약 계약을 통해 한국인 주요 3대 질병인 암, 급성심근경색증, 뇌출혈을 모두 한 번에 보장받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추운 날씨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도 심뇌혈관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하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만큼, 특약을 통해 심뇌혈관 질환들에 대한 보장까지 더욱 폭넓게 확대했다. 먼저 주계약에서는 일반암 진단 시 최대 3000만 원을 지급한다. 이때 일반암은 물론 특정암(유방암·대장암·전립선암), 기타피부암, 갑상선암, 제자리암, 경계성종양 진단까지 각각 보장한다. 또 특약으로 보장하는 급성심근경색증, 뇌출혈 진단급여금 역시 각각 최대 3000만원을 지급한다. 그 밖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생애금융보고서 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머니편), 주린이가 되기로 작정하다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40대는 우리 경제와 가계의 중심축이며, 특히 40대 초반은 금융자산 만들기의 마지노선으로 생애 자산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산관리 지형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이들 역시 금융투자에 관심이 높아졌다. 행복연구센터는 서울 및 지방 4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40대를 대상으로 자산관리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살펴봤다. 40대의 돈, 투자로 머니 무브(Money Move)는 계속된다. 40대 소득자 중 78.2%는 이미 주식, 채권, 펀드 등을 보유한 금융투자자다. 그런데 이들 중 절반 이상(57.4%)은 앞으로도 투자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투자자가 아닌 경우에도 61.0%는 자금 · 시간 · 정보 부족이 해소되는 등 여건이 허락하면 투자를 시작한다는 생각이다. 저금리 지속과 투자를 안하면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투자를 확대한 가장 큰 이유다. 더불어 40대 초반은 주택(부동산) 등의 가격 상승, 40대 후반은 향후 가구소득이 그리 늘지 않을 것을 투자 확대 이유로 들었다. 40대의
선의의 경쟁은 상생발전의 원동력이다.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 기세로 국내 이커머스 업계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경쟁에 뒤지지 않기 위한 대책에 몰두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의 주류를 이루고있는 모바일 쇼핑도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면서 중소상공인, 이커므스가 주류를 이루고있는 1인 사업자들에게도 크고 작은 영행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쿠팡이 뉴욕 증시 상장을 공식화하고 여기서 마련된 실탄을 바탕으로 공격적 투자에 나서기로 선언하면서 유통공룡과 IT공룡까지 뛰어든 e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 판도가 또 다시 흔들리고 있다. 상장, 투자유치, 합종연횡 등을 통한 시장 재편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12일(현지시간) 쿠팡이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을 위한 신고서를 제출하는 등 IPO(기업공개) 절차를 본격화 하면서 e커머스 시장에서는 긴장감이 감돈다. 그동안 수조원의 투자로 '빠른 배송(로켓배송)' '유료 멤버십(로켓와우)' '신선식품 새벽배송(로켓프레시) 등 국내 e커머스 시장 판을 바꾼 쿠팡이 대규모 자금 유치로 실탄을 확보하게 되면서 더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서다. 쿠팡은 상장 이후 공격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쿠팡은 IPO신고서에서 "장기적인
1년 넘어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가 명절 풍습마저 바꾸고 있다. 영상앱을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차례를 지내는 가정이 크게 늘었고, '모바일 세뱃돈', '릴레이 성묘' 등이 새 풍속도로 변하기 시작했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광주시에 따르면 설 연휴가 끝나는 오는 14일까지 5인 이상 모임 금지를 유지한다. 5인 이상 사적모임을 전면 금지했다. 직계 가족이어도 거주지가 다르면 최대 4명까지만 모일 수 있다. 이를 어겨 적발된 사람에겐 과태료 10만 원이 부과되고, 고의성 또는 감염 재확산이 입증되면 치료비 등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다. 차례에 앞서 연휴 첫 날부터 전국 각 지역 친지들은 화상 회의 앱을 설치했다. 각자의 자택에 가족단위로 모여 네 가족이 화상 회의 앱에 동시 접속했다. 함께 나눠 먹을 식구가 줄어든 만큼 제수 음식 가짓수와 양도 대폭 줄였다. 차례상과 가족들 얼굴 대신 가족들과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해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를 몰아보며 연휴를 보냈다. 또 금년 설에는 친지들이 모이지 못하는 관계로 모바일 메신저 송금 기능을 통해 세뱃돈 보내기가 유행이 되었다. 평소에는 자식들이 부모를 방문해 왔지만 5인 이상 모임 금지로
상장례(喪葬禮) 전문기업 ‘의전법인상장풍의례원(儀典法人喪葬風儀禮院/ 대표 김진태명장)’이 2021년도에 들어 또 하나의 큰 다비장을 성공적으로 치러냈다. ‘세계불교세심종(世界佛敎洗心宗)’ 성황(聖皇) 태성당(泰聖堂) 무변대종사(無邊大宗師)가 1월 23일 오후 5시 일본 대정사에서 숙면했다고 불교공뉴스로 전해졌는데 이에 따른 다비장이 ‘世界佛敎 洗心宗 宗團葬 聖皇 泰聖堂 無邊大宗師 永訣式’이라는 이름으로 거행된 것이다. 1월 29일 오전 10시 옥천군 소재 황룡사 적광전에서 진행된 영결식과 황룡사 연화대에서 실시된 다비장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준비절차와 진행을 ‘상장풍의례원’이 일체를 맡은 것이다. ‘세계불교세심종’은 국내에서 창종된 종파이지만 특이하게도 종정인 무변대종사가 최근 주로 일본에서 포교활동을 하면서 교세를 확장시켜 왔다. 1월 23일 입적한 장소도 일본 대정사(大井寺)였다. 참고로 무변대종사의 발자취를 소개하면 1938년 충북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불도의 집안에서 태어나 1943년 중국 소림사(少林寺) 구봉(九峯) 선사를 은사(恩師)로 출가(出家)했다. 서도(書道)와 소림무술(少林武術) 낙관(落款)법 관지(款識)법 안심도(安心道) 등을 연마(練磨
장례산업이 타 산업과 어깨를 맞대고 발전하기란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기상조인 듯 하다. 일본에서는 이미 증시상장 장례기업이 여럿이 있는데 그중 '주식회사가마쿠라신서(株式会社 鎌倉新書)'는 정보제공 출판업에서 출발하여 지금은 토탈장례업으로 발돋움하여 지금은 증시에 상장된 유망한 기업이다. 금년 2월 '전망(前望)'이란 칼럼에서 드러낸 '시미즈 히로타카(清水祐孝)' 대표이사 회장의 글이 마음에 와 닿는다. 회사가 발전한 근본원인을 경영인들의 노력에서가 아니라 각고의 노력으로 길을 닦아 놓은 지난날 선배들의 노력에 먼저 감사를 표시했다. 나아가 지금입지에서 기업이 기여해 나가야 할 사회적 사명감을 토로하여 저으기 감동스럽기도 하다. 우리의 경우, 특히 상조산업이 이만큼이나마 발전해 나온 과정을 되새겨보고 앞으로 고객만족과 사회발전을 위한 일단의 각오 같은 것이 보였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길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는 달릴 수 있다··그렇다면 우리 회사는, 세계 제일의 초고령 사회인 일본에서 고령자나 그 가족이 직면하는 과제나 문제, 하고 싶은 일, 해 두고 싶은 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령화, 장수화, 도시화, 저출산 등과 이에 따른 가족관계의
석학 이어령 박사는 어쩌면 생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죽는 것은 돌아가는 것이며 죽음을 알기 위해 거꾸로 유언같은 '탄생' 이야기를 써 내려 간다."고 말했다. 죽음이 삶의 끝이긴 하지만 다시 출발하는 스타트선이 된다는 "끄트머리" 이론으로 장례혁명을 선도하는 목회자 송길원 목사의 신간 "죽음의 탄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랜 세월을 제 자리에 머물고 있는 인간대사 '장례문화'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오려는 '유쾌한 반란'을 시작했다. 그런 가운데 양평 소재 청란교회에서 실시된 혁명적인 장례식 전후를 기술하면서 한국 장례문화의 변화와 혁신을 주장했다. <장례, 유쾌한 반란>“아니, 이게 장례식이야?” ☞ 저자 송길원 목사는 강조했다. "사람은 죽음을 향해 살아간다. 언제 다가올지 모르는 죽음을 향해. 그렇다면 왜 사람은 태어나는 것이며, 무엇을 위해 사는 것일까? 죽은 사람의 목소리는 더 이상 들을 수 없다. 그 체온도 느낄 수 없다. 하지만 마음속으로 이야기를 걸 수 있다. 사랑받고 사랑했던 기억이 있어서다. 사람은 사랑을 알기 위해서 태어나고 사랑을 남기기 위해서 산다. 남겨진 사랑이 영원히 영원으로 이어진다." '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