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대세는 모바일' 장례산업 마케팅도 새롭게 눈을 뜨라

12일(금) 나온 정부 자료는 한국인의 일상이 얼마나 모바일 기기와 밀착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PC 보급률을 앞지른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올해 스마트폰 보유 가구 비율은 84.1%로 78.2%인 PC 보유율보다 높았다. 이는 현재 10가구 중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같은 컴퓨터를 한 대 이상 사용하고 있는 가구는 8가구가 채 안되는 반면 스마트폰 사용 가구는 8가구가 넘는다는 뜻이다. (삼성 갤럭시노트4 같은 신형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격은 약정없이 구매할 경우 고가의 데스크톱 PC와 비슷하다.)


지난 7월 16일부터 8월 30일까지 미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벌인 이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2만5,000가구의 만 3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최근 몇 년 사이 PC 보급률은 2012년 82.3%에서 지난해엔 80.6%로 꾸준히 하락해왔다.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이메일, 인터넷 쇼핑, 인터넷 뱅킹 등에 활용하면서부터다.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2년 65.0%에서 지난해엔 79.7%로 증가했다.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이 기존 이메일 이용률보다 훨씬 높다는 점도 한국인의 온라인 라이프스타일이 변하고 있다는 또다른 증거다.카카오톡, 라인 등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률은 2012년 60.1%에서 올해 89.2%로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이메일 이용률은 84.8%에서 59.3%로 감소했다.





배너

포토뉴스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