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고구려벽화고분, 낙랑지역서 첫 발굴

▶北·日, 평양서 공동조사… 청자 촛대 北서 처음 발견
▶북한과 일본의 공동 학술조사단이 평양에 있는 고구려 고분을 발굴, 고대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필요한 "1급 사료"를 발견했다고 일본 교도(共同)통신이 14일 보도했다. 작년 10월 평양 중심가에서 4.5㎞ 정도 떨어진 낙랑(樂浪)구역 동산동(東山洞)에서 주택공사를 하던 중 발견된 이 고분은 4세기 말~5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고분 안에서 발견된 벽화는 뿔 모양의 모자를 쓰고 말을 타는 남성, 무장(武裝)한 말을 타고 깃발을 든 행렬, 칼을 든 무사 등의 모습을 담고 있다. 고분의 입구는 남남동(南南東)을 향하고 있으며, 16m에 이르는 묘도(墓道) 양쪽 벽면과 천장 대부분에서 벽화나 벽화의 흔적이 발견됐다. 고분 전실(면적 2.4×2.1m, 높이 3.3m)과 후실(면적 3.36×3.28m, 높이 3.4m)은 좁은 통로로 연결됐고, 후실에선 남녀 유골도 확인됐다.

이 통신은 "삼각 받침대가 층을 이루는 전실의 아치형 천장과 석회·숯·붉은 점토를 번갈아 다지면서 석실을 덮은 분구(墳丘·봉분)는 처음 확인된 양식"이라고 전했다. 분구의 전체 크기는 길이 35m, 높이 8m에 달했다. 북한은 이 고분을 "동산동 벽화고분"으로 이름붙이고 국보로 등록하는 한편,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할 계획이다. 일본 학자들은 이 벽화 고분이 200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평안남도 남포시의 덕흥리 벽화고분에 견줄 만하다고 평가했다.

 
- ▲ 평양 낙랑(樂浪)구역 동산동(東山洞)에서 발굴된 고구려 고분 유물. 5세기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고분의 묘도(墓道) 양쪽 벽면과 천장 대부분에서 벽화 또는 벽화 흔적이 발견됐다. 위 사진은 검은 뿔 모양의 모자를 쓴 인물이 그려진 벽화, 아래사진은 고분 속에서 출토된 청자 촛대. /교도통신 연합뉴스
공동조사단은 이와 함께 금·은 장식품과 호랑이 모양 자기, 청동 화폐, 관에 쓰인 못 등 고구려인의 문화 발달상을 볼 수 있는 유품도 고분에서 발굴했다. 함께 출토된 청자 촛대는 북한에서 처음 발견된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이번 발굴은 북한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와 고고학자인 사오토메 마사히로(早乙女雅博) 도쿄대 교수, 유적보존학자인 아오키 시게오(靑木繁夫) 사이버대 교수 등 교도통신이 북한에 파견한 일본 학술조사단이 함께 실시했다. 사오토메 교수는 "고분의 구조와 벽화의 수준을 보면 중요한 성과"라며 "고구려 벽화 고분이 없을 것으로 여겨졌던 곳에서 발굴돼 더욱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안휘준 서울대 명예교수(한국미술사)는 "옛 낙랑군이 지배했던 곳에서 고구려 벽화고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고, 4세기 후반~5세기이면 낙랑이 고구려에 통합된 직후 시기의 것이라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

포토뉴스



[칼럼] 상조단체 상조협회 이야기
조직이란 소속된 구성원들의 친목과 함께 공동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란 점이 핵심 존재이유라고 할 수 있다. 한국상조산업계도 2021년을 기점으로 비영리 공인 단체를 가지게 되었다. 비록전국적인 단일조직은 아니지만 어쨋든 공식 '사단법인'이란 점에서 의미있는 발전이다. 한국상조산업협회는 설립 허가를 받은 후 박헌준 회장 이름으로 “공식적인 허가 단체로 거듭난 협회는 회원사와 더불어 장례문화발전과 상조업계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기자는 관련 기사에서 경험에서 우러나는 희망사항을 곁들였다. 4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상조산업의 문제점은 원래의 본향이었던 상부상조, 아름다운 품앗이의 핵심, 장례문화를 제대로 발전시킬 수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렇다는 것은 의례서비스의 근본을 떠나 소위 결합상품 내지는 의례와 거리가 먼 라이프서비스로 주업태를 변경시켜 가며 이윤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조고객의 대부분이 미래 장례를 목적으로 가입한 것이라면 상조산업 발전과 장례문화 발전이 동일한 의미를 가져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24일자로 공정위의 허가를 받은 '사단법인 한국상조산업협회'가 설립목적으로 명시한 "상조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소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