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0년간 밀폐된 공기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왔다 ▶고고학적 발굴에 몸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하나의 소망이 있다. 중국 진시황릉이나 이집트 파라오 무덤의 발굴처럼 세상을 놀라게 할 위대한 발굴을 자신의 손으로 해 봤으면 하는 꿈이다. 돌이켜 보면 나에게도 그런 기회가 있었다. 공주의 무령왕릉 발굴이다. 그러나 그것은 나의 인생에 있어서 영광과 동시에 후회를 안겨 준 발굴이었다. 40여년 전인 1971년 7월 무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릴 때였다. 충남 공주 송산리 백제 고분군은 일제강점기 때 도굴되었지만 광복 후 사적 제13호로 보호되어 왔다. 이 고분들 중에 사신도(四神圖)그림이 그려진 벽화 무덤이 있는데, 여름만 되면 벽면을 타고 벽화에 물이 흘러내렸다. 그래서 보수 공사를 하던 중 한 인부가 우연히 벽돌 한 개를 찾아내면서 발굴이 시작됐다. 공사장 인부는 급히 삽질을 멈추었다. 뭔가 이상한 유물이 나오면 즉시 박물관으로 연락하라는 지시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당시 "마지막 백제인"을 자처하는 김영배 공주박물관장은 전날 묘한 꿈을 꿨다. 집채 크기의 돼지 같은 동물이 창문을 부수고 안방으로 달려 들어오는 내용이었다. 김 관장은 당시 이게 길몽인지 흉몽인지 가늠하기 어려웠지만 기이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날 오후 갑자기 송산리 고분 현장 소장으로부터 빨리 와달라는 연락을 받았다. 관장의 꿈은 길몽이었고 그건 바로 무령왕릉이란 걸 암시한 것이었다. |
|
|
발굴단은 사람들을 통제할 수단도 없었고 한동안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었다. 일단 무덤을 폐쇄한 뒤 내부 조사는 신중히 하자던 당초 결정도 흔들렸다. 기자와 구경꾼들이 몰려 있는 상태에서 조사를 더이상 할 수 없는 분위기였다.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러다간 큰일 나겠습니다." "어떻게든 빨리 끝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언론에 먼저 내부를 공개하고 수습에 들어갑시다." 하지만 언론에 내부를 공개하자, 구경꾼들도 덩달아 공개하라고 나섰다. |
왕릉에서 나온 유물들 덕에 백제의 역사를 다시 쓰는 계기가 됐지만 학술적인 자료를 얻을 기회는 놓치고 말았다. 유리구슬 수천 점이 나왔지만 이게 팔에 매단 것인지, 목에 건 것인지도 모르고 쓸어 담기에 바빴다. 당시 고분 안의 온도가 어떻게 됐는지 기초 조사도 하지 않았다. 한마디로 유물을 주워담는 수준에 그치고 말았다. 사실 장비도 카메라가 1대 있었고, 야간발굴을 위한 발전기도 공주 군청에서 빌린 게 고작이었다. 고대 백제사의 비밀을 풀어줄 블랙박스 무령왕릉 발굴은 이렇게 막을 내렸다. 왕릉을 단 하루 만에 발굴한 것은 어떤 후진국에서도 하지 않는 일이다. 당시 30세의 젊은 나이에 발굴 요원으로 참가한 것은 영광이었지만, 평생을 유적 발굴에 몸담아 온 나로서는 지금도 무령왕릉 얘기만 나오면 몸 둘 바를 모른다. 만약에 다시 그런 기회가 온다면 발견 당시의 실내공기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해 치밀한 조사계획을 세우고 모든 조사방법을 동원해 1년이든 2년이든 최선을 다할 텐데…. 나는 요즘도 발굴현장을 찾으면 후배들에게 후회 없는 조사를 부탁한다. 한번 실수한 발굴은 영원히 돌이킬 수 없다고. [조선일보 에세이/ 조유전(경기도문화재연구원장·前국립민속박물관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