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장례식장 특실 이용자들의 화장률이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장개협)와 서울보건대학이 서울시내 화장률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특실 이용자의 화장률은 심하게는 일반실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개협 등은 연간 500건 이상의 장례를 치르는 서울시내 장례식장 14곳을 조사했다. 조사 표본은 1만1천여건인데, 서울시 연간 사망건수인 3만8천여건의 30% 수준이다. 동부지역의 중산층 이상이 이용하는 ㅎ병원은 일반실의 화장률이 63.8%인 반면, 특실의 화장률이 30%로 조사됐다. 또 강남지역 ㄱ병원은 일반실 화장률이 55.3%, 특실이 43%이다. 장개협 등이 조사한 14곳 장례식장의 평균 화장률은 61.5%, 2005년 서울시 전체 화장률은 64.9%여서 특실 화장률이 현저히 낮은 셈이다. 서울시민의 화장률은 4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여기에는 고소득층의 화장 기피도 한몫한다. ㅅ병원 장례식장 관계자는 “여유가 있는 분들은 아직 매장을 선호한다”며 “부모들이 경제적 여유가 있어서 선산을 미리 마련해놓은 경우나 경상도처럼 보수적인 풍습이 짙은 쪽에서 매장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특실 이용자들이 장지로 선택하는 선산이나 가족묘지 등은 지목이 묘지가 아니라 임야나 전답인 경우가 많다. 매장 선호가 불법 묘지 양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서울보건대학 장례지도과의 박태호 겸임교수는 “고소득층이 매장을 선호하면 보통 사람들도 따라가고 싶은 심리를 갖게 된다”며 “서울시립 화장장과 납골당의 포화상태를 해결하고 고소득층을 끌어들일 화장장 차별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