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종합뉴스

일본 대도시에서 직장(直葬 약식 장례) 더욱 유행

"내가 죽거든 장례식에 돈을 많이 쓰지 말고 다른 이들을 부르지도 말아달라"

일본 도쿄, 오사카 등지에서 최근 약식 장례를 치르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NHK가 27일 보도했다. 쓰야(通夜·밤샘)나 고별식 등 일본 장례에 일반화된 절차를 생략한 이같은 형식을 일본에선 '조쿠소'(直葬)라고 부른다.

장례식과 묘지 정보를 제공하는 한 업체가 최근 전국의 약 200개 장의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1년간 일본 수도권인 간토(關東) 지방에서 치러진 장례 중 22.3%가 조쿠소였다.

도쿄 다음으로 큰 도시인 오사카가 속한 긴키(近畿)지방에서도 9.1%를 차지했다. NHK는 "도쿄나 오사카 등 대도시 지역에서 조쿠소의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조쿠소의 핵심은 쓰야나 고별식처럼 친척·지인들이 참석하는 절차를 생략했다는 데 있다.

일본에선 보통 시신을 화장하기 전날 가족과 가까운 친척, 지인들이 모여서 밤을 새우는 쓰야를 치르고, 시신을 화장한 뒤에는 더 넓은 범위의 지인들을 불러 고별식을 치른다. 양쪽 다 승려를 불러 독경까지 하려면 평균 200만∼300만 엔(2천300만∼3천500만원)의 장례 비용이 들어간다. 이 비용을 고별식 참석자들이 내는 고덴(香典·조의금)으로 충당하는 식이다.

하지만 쓰야와 고별식을 생략한 조쿠소에 들어가는 돈은 평균 18만 엔(21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쿠소라고 해도 숨진 날 곧바로 화장을 하는 게 아니라 시신을 하루나 이틀 가량 집이나 전문 안치소에 모셔뒀다가 사흘째 화장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법률상 사망 후 24시간 이내에는 화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종교학자인 이시이 겐지(石井硏士) 고쿠가쿠인(國學院)대 교수는 이처럼 약식 장례가 퍼진 이유에 대해 "경제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역시 지역사회나 친족과의 인간관계가 멀어진 게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포토뉴스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