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엿장수가 신고한 화순 대곡리 유적 재발굴

 
국보 143호로 지정된 화순 대곡리 유적 출토 청동유물 일괄품은 청동칼인 동검 3점과 8개 방울을 단 청동 팔주령 2점, 아령 모양 방울 두 개를 마주 단 청동 쌍두령 2점, 청동 새기개(새김질을 하는 데 쓰는 연장)와 청동도끼 각 1점, 그리고 잔무늬거울(다뉴세문경) 2점으로 구성된다.

이 유물들은 1971년 12월에 대곡리 마을 주민 구재천 씨가 자기집의 빗물 배수로 공사를 하다 돌무지를 발견하고 그것을 치우는 과정에서 수습한 것이다.

수습된 유물의 가치를 모른 구씨는 마침 마을을 찾아온 엿장수에게 넘겼고, 이 엿장수는 이를 다시 전남도청에 넘김으로써 놀라운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공개됐다.

당시 전남도청 신고를 받은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나중에 이 기관의 수장을 역임하게 되는 조유전 학예연구사(현 토지박물관장)를 현장에 급파해 긴급 수습조사를 벌였다.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조현종)이 36년만에 이 유적을 다시 발굴하고 20일 그 현장을 공개했다. 지난 13일부터 시작된 이번 조사는 무덤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21일 끝난다.

재발굴에서는 이렇다 할 만한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재조사를 통해 대곡리 유적은 그 구조를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게 되었다고 조현종 관장은 밝혔다.

유적 현장은 버려진 창고와 함께 시멘트 도로가 덮고있었으며 그 주변은 쓰레기장으로 변해 있었다.

조사 결과 이 폐창고는 암반층을 파내고 축조되는 바람에 유적 지형을 심하게 훼손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이번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대곡리 고분은 그 축조 방법을 엿볼 수 있는 면모를 비교적 많이 노출했다.

매장시설은 풍화한 암반층을 파내고 마련했다. 묘광(墓壙)은 상하 2단으로 파내는 방식으로 조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상층 1단은 동-서 330㎝, 남-북 280㎝의 평면 방형에 가까웠으며, 깊이는 동쪽 기준 85㎝ 가량이었다. 그 안에는 또 하나의 좁은 묘광이 발견됐다. 규모는 동-서 230㎝, 남-북 105㎝, 깊이 65㎝인 평면 장방형이었다.

묘광 바닥면에서는 목관 바닥면 흔적이 관찰됐다. 그 범위는 동-서 115㎝, 남-북 40㎝ 안팎이었으며 서쪽 끝부분에서도 일부 목관 흔적이 드러났다.

목관을 놓았던 외곽 중 북쪽에서는 25㎝ 내외의 깬돌을 1열로 쌓았음이 밝혀졌다. 이들 채움돌과 목관 사이에는 두께 10㎝ 안팎의 회백색 점토가 발견됐다.

학계에서는 대곡리 고분이 축조된 시기를 기원전 4-3세기 무렵으로 간주한다. 청동기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초기 철기시대가 개막하는 무렵에 형성된 유적으로 보는 것이다.

조현종 관장은 "새로운 유적을 조사하는 것만큼이나 기존에 조사한 유적을 다시 조사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포토뉴스




해외 CEO 칼럼 & 인터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