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회는 “서울시립 벽제승화원(화장장)시설 부족으로 서울시민들이 지방 화장장을 이용하는 불편을 겪고 있고 4일장이나 일몰 후 유골을 받는 것처럼 전통 장례문화에 맞지 않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서초구와 일부 지역주민의 반대가 계속되면 시민 불편만 가중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화장률은 1997년 30%에서 2006년 68.6%로 급증한 반면 서울시립 화장로는 벽제승화원의 23기가 전부라 이곳에서 하루 평균 82구를 화장해 적정능력인 66구를 넘어섰고 2015년에는 16.8기의 화장로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의회는 서울시와 서초구청ㆍ주민의 대화를 중개해 추모공원 건립을 유도하고 보건복지부와 서울시에 시민을 고려한 장묘정책을 제안하는 자문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2000년 8월 발족한 추모공원 건립추진협의회에는 종교계 원로와 시민사회단체, 언론계 학계 문화계 인사 및 장묘행정과 조경, 토질 전문가 등 4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석연 변호사, 최열 환경재단 대표, 최준식 이화여대 교수 등이 참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