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황이 이렇지만, 부산시는 당장 추가 봉안시설 확보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도시권역 안에 새로운 봉안시설을 갖추기 위해서는 엄청난 예산이 필요하다. 더 큰 문제는 주민 민원이다. 주민 반대를 무릅쓰고 새로운 봉안시설을 짓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부산시로서는 기존 장사시설의 유휴 부지 등에 봉안시설을 증축하거나 정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고작이다. 부산의 공설 장사시설은 부산 시민만 이용할 수 있고, 15년 안치 기준으로 32만6천원의 사용료를 받는다. 사설 봉안시설이 위치에 따라 1기당 수백만원에서 1천만원 단위까지 사용료를 받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저렴하다. 따라서 화장과 함께 공설 장사시설의 봉안 수요는 꾸준히 늘 수밖에 없다.
부산시 노인복지과 관계자는 "봉안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장사문화를 확 바꿔야 한다"며 "화장한 유골을 안치하는 봉안당은 일정 기간 이용한 뒤 비워주고, 빈 봉안시설은 재사용하는 등 순환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장사 관련 시 조례를 개정해 봉안시설의 연장 설치 기간을 1회에 한해 15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최초 안치 이후 30년이 지나면 무조건 봉안시설을 비워 재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기로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