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현재 확인된 사로국 시대 고분만도 목관묘 11기, 목곽묘 122기, 옹관묘 65기, 토광묘 2기에 이른다. 아울러 말과 호랑이 모습을 본뜬 청동제 혁대 버클인 마형대구(馬形帶鉤)와 호형대구(虎形帶鉤) 각각 1점, 오리모양 토기(鴨形土器) 등 유물 2000여 점이 출토됐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덕천리 유적을 2004년 6월 18일 이후 발굴중인 영남문화재연구원(원장 이백규)은 고속철 구간에 포함된 이 일대 3만5320㎡를 조사한 결과 이 밖에도 주거지를 비롯한 청동기시대 유적 29기, 삼국시대 이후 도로 유적 등 총 300기에 이르는 유적과 2347점에 이르는 유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성과가 쏟아짐에 따라 조사단은 "고속철도 건설로 인해 (유적의) 훼손이 불가피한 상황이나 중요 유적의 확인으로 일부 유적 범위 및 중요 유구에 대한 보존방안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덕천리 유적 일대 고속철 구간 공사는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조사단은 "덕천리 유적이 원삼국시대(초기삼국시대) 대규모 분묘군임이 확인됨으로써 이 유적이 초기신라 사로국의 모체가 되는 새로운 집단으로 파악되며, 이를 통해 1~3세기 초기신라 형성 과정과 문화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평가했다. 특히 "다수의 오리모양 토기와 마형대구ㆍ호형대구는 피장자의 신분을 과시하는 위세품(威勢品)으로 이를 통해 덕천리 유적의 정치적 지위를 파악하는 단서가 된다"고 덧붙였다. 서기 1세기 무렵 마형대구와 호형대구는 영천 어은동 유적 출토품과 경주 사라리 130호 목관묘 출토품과 각각 흡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 대구는 125호와 127호 목관묘에서 각각 확인됐다. 덕천리 유적 출토 오리형 토기 수량은 지금까지 발굴을 통해 알려진 같은 유물보다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 |